- 편법동원, 당헌.당규 위반, 원칙론 고수, 당.청 당혹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에 분명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미국을 방문 중인 박 전 대표는 6일(현지시각) 수행중인 측근인 이정현 의원을 통해 "당헌 당규를 어겨가면서 그런 식으로 원내대표를 하는 것은 나는 반대"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가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을 반대한 표면적인 이유로 당 소속 의원들의 총의로 원내대표를 선출되도록 규정한 당헌.당규 위반을 들었다.
특히 안상수, 정의화, 황우여 의원 등이 이미 당헌당규에 따라 출마를 선언하고 원내대표 선거운동을 하고 있는데, 이런 희망자들을 중도에 그만두게 하고 추대같은 형태로 하는 것은 원칙에 어긋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친박계를 ‘자리 나누기’로 분열시키고 는 당을 쇄신할 수 없다는 시각이 깔려있다는 분위기다.
친박계 인사를 고위 당직에 앉히는 방법으로 여권의 위기를 돌파하려는 것은 사실상 임시방편으로 눈속임이나 다름없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박 전 대표 총리설을 시작으로 ‘탕평 인사’ 필요성이 거론될 때마다 말만 무성했던 전철을 되풀이하는 상황에서 친박계 내부에서 "특정 의원을 원내대표로 뽑는다고 골 깊은 친이-친박 갈등
이 해소되겠느냐"는 의견들이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박 전 대표의 발언을 전한 이 의원은 "국민이 원하는 것은 다 알려진 게 아니냐"며 "국정운영과 당 운영을 잘해야 국민 지지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갑자기 당이 위기에 처했다고 해서 당헌당규를 어기는 편법을 동원, 계파 갈등을 봉합하는 해법보다는 정공법으로 위기를 탈출해야 한다는 얘기다.
당초 박 전 대표는 이날 스탠퍼드대 초청강연이 예정됐던 만큼 국내 정치에 대한 언급을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었지만 강연 30분 전에 이 의원을 통해 발언을 신중하게 공개했다.
한 측근 의원은 "당이나 청와대로부터 아무런 연락도 받지 못했다"며 "사전 연락 여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원칙에 맞지 않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그러나 박 대표가 ‘김무성 원내대표’ 카드의 공론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박근혜 전 대표와 사전에 충분히 상의하는 절차를 갖지 않은 것을 놓고 당 지도부와 청와대가 신중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박 전 대표의 친박계 원내대표론에 제동을 걸면서 '한 마디'로 '김무성 추대론'이 사실상 물 건너감에 따라 당 쇄신과 화합 방안에 대한 논의 방향도 상당 부분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당 지도부와 청와대 모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재보선 패배 뒤 당 단합의 첫 방안으로 친박계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을 내세웠던 한나라당 지도부의 쇄신 논의가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