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어린이 사고사망률이 OECD 국가 가운데 3위로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지난 200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인구 10만 명당 어린이 사고사망률은 평균 8.7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OECD 평균인 5.6명보다 높고, 최하위인 스웨덴의 2.7명에 비해 3배가 넘는 수치로 순위로 보면 13.6명의 멕시코와 9.2명의 미국에 이어 세번째로 높다.
한국의 어린이 사고사망의 원인을 보면 교통사고가 42.7%로 가장 주된 사인이었고, 익사와 타살이 각각 20%와 8.7%로 뒤를 이었다.
하지만 최근 10년 동안 어린이 사고사망률 감소폭은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컸다.
지난 91년에서 95년 사이 우리나라의 어린이 사고사망률은 25.6명으로 OECD 국가 가운데 1위를 차지했지만 10년 만에 3분의 1로 줄어들었다.
통계청은 2007년 어린이 사고사망률은 6.7명을 기록해 OECD와의 비교 기준시점인 2005년에 비해서도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