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가격이 상승할 때에는 휘발유 가격이 빠른 속도로 많이 오르고 반대로 원유가격이 하락할 때에는 휘발유 가격이 더디게 조금 내린다는 일반인들의 생각이 맞다는 실증분석 결과가 나왔다.이달석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일 ‘휘발유 소매가격 결정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서 1997년 4월부터 2005년 6월까지 휘발유 가격조정의 비대칭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가격조정의 비대칭이란 석유제품 가격이 원유가격 상승과 하락에 대응해 다르게 조정되는 것을 말한다. 분석 결과 주유소가 정유회사나 대리점으로부터 인수하는 도매가격의 경우 원유가격 과 도매가격 변동의 상관관계 정도를 의미하는 지표인 조정계수가 원유가격 상승시에는 1.242, 원유가격 하락시에는 0.740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소매가격의 경우 도매가격 상승시의 소매가격 조정계수는 0.989, 도매가격 하락시 소매가격 조정계수는 0.909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이 연구위원은 “이 현상은 도매단계 시장 참여자인 정유사 또는 대리점의 가격 결정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이에 대해 석유협회는 “2001년 중반 이후에는 국제 석유제품가 격 기준으로 국내 석유제품 가격이 결정됐다는 사실이 간과된 데다 비중이 현저히 떨어진 대리점 공급가를 도매가격으로 활용하는 등 불합리한 방법으로 결론이 도출됐다”고 반박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