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시민단체, 한전을 비롯한 6개 발전회사는 오는 2015년까지 환경유해물질인 PCBs(폴리염화 비페닐)를 근절하는데 합의하고 7일 서울프레스센터에서 곽결호 환경부장관과 한준호 한전사장, 최열 환경운동연합 대표 등이 참여한 가운데 조인식을 가졌다. PCBs는 전기를 통하지 않게 하는 절연성이 뛰어나 변압기, 축전기 등에 폭넓게 쓰였으나, 강한 독성, 장거리 이동성, 인체에 축적되는 특성의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로 알려지면서 세계 각국에서 제조 및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에 관한 스톡홀름협약에서 사용을 금지한 12개 유해물질 가운데 하나로, EU(2010), 캐나다(2014년), 일본(2016년) 등 세계 각국은 목표시한을 설정하고 PCBs가 함유된 제품과 폐기물을 단계적으로 제거하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6년 이후 PCBs의 제조, 수입, 사용을 금지하였고, PCBs가 2ppm 이상 함유된 폐기물은 지정폐기물로 처리토록 하고 있으나 변압기를 비롯한 제품 및 폐기물에 아직도 잔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합의는 앞으로 10년 안에 PCBs를 근절하기 위해 기업과 시민단체, 환경부가 공동으로「PCBs 정책협의회」를 구성.운영하는 한편 안전한 관리를 위해 재원을 확보하는 것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한편 환경부는 PCBs 오염 장비의 관리를 강화하고, 군사, 철도 및 산업시설에서 사용 중인 장비의 오염여부도 조사할 방침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