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을 이용한 특허기술을 도내에서는 처음으로 획득하여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고문환)에서는 지난 2006년 10월 23일 “셀룰라아제를 생산하는 새로운 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그 용도”에 대하여 특허 출원하여 지난 6월 30일 최종 특허결정(특허출원번호 제2007-102885)이 확정되었다.본 발명에서 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팀은 제주도내 토양, 퇴비 등 여러 분리원으로부터 섬유소 분해 활성을 보이는 야생 균주를 분리하고 이로부터 셀룰라아제 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였다.선발된 미생물은 각각 Bacillus sp. Jeju1(C05-16), Bacillus sp. Jeju2(C10-9), Bacillus sp. Jeju3(M37-2), Bacillus sp. Jeju4(SL9-9), Bacillus sp. Jeju5(S52-2) 등 5종류이다.이중 섬유소 분해 효과가 가장 좋은 Bacillus sp. Jeju4(SL9-9)이란 미생물 1종이 지난 6월 최종 특허확정되었다.이 균주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최종 동정 되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L9-9”으로 명명하였으며 섬유소 분해 활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작물 생장 촉진 효과 및 여러 가지 병원균에 대한 길항력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또한 이 균주를 이용하여 셀룰라아제를 생산하기 위한 최적의 배양조건을 수립하였으며 앞으로 제조 방법과 산업적 용도를 검토해 나아갈 계획이다.농업기술원은 이번 미생물 특허획득으로 제주특별자치도가 지향하는 친환경농업 시범도 육성에 꼭 필요한 친환경농자재 개발 사업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