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총선후보 선출 관련 당헌 규정이 현역 지구당 위원장에게 유리하게 돼있다며 민주당 공천을 희망하는 영입인사 등 정치신인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서 기득권 논란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가 되고자 하는 지구당 위원장은 원칙적으로 후보선출을 위한 경선일 3개월전에 지구당위원장직을 사퇴하도록 돼있으나, 이번 17대 총선에서는 적용하지 않는 예외규정을 둔 것으로 대표적인 `기득권′ 조항으로 꼽힌다.
또 지구당 상무위원회가 ▲국민참여경선 ▲전당원 경선 ▲여론조사 방식 등 총선후보 선출을 위한 3가지 방안중 택일하도록 돼있으나, 현직 지구당위원장이 지구당 상무위원회 구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행사하기 때문에 선출 방식을 결정함에 있어서 현 지구당위원장에 유리한 방식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문제다.
이같은 방식은 사실상 호남 등에 집중된 민주당 현역 지역구 의원에게 경선의 기득권을 인정해주는 것으로서, 이를 그대로 적용할 경우 신진인사의 도전과 공정경선을 통한 `물갈이′는 어려워질 전망이며, 외부인사들의 영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전남 영암.장흥에 출마하는 박준영(朴晙瑩) 전 공보수석은 3일 기자들과 만나 "이런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신진인사들이 지구당위원장과 공정한 경쟁을 하기가 어렵다"면서 "지구당위원장직 사퇴 규정을 17대 총선부터 적용하든지, 지구당 상무위를 경선후보들이 협의해 구성하든지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의 지역구 출마를 준비중인 당내인사는 "지구당위원장 사퇴 규정을 17대 총선에서 적용하지 않는다면 18대에서 하자는 말이냐"고 반문하고 "지구당위원장의 제왕적 권한을 유지시켜주는 현행 경선방식을 갖고는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이 도전한다 해도 후보가 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비판했다.
수도권 출마를 준비중인 당내 인사도 "호남에서의 공천 물갈이는 수도권에서의 민주당의 경쟁력에 매우 중요한데, 이런 방식대로라면 현역 의원들이 대부분 재출마하게 될 것"이라며 "정치개혁이나 공정경선과는 거리가 먼 방안"이라고 지적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