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5개 공공기관이 입주할 혁신도시는 2020년 목표 인구를 2만~5만 명으로 잡아 50만~250만 평 규모로 조성된다. 도시 건설에는 마스터플래너(MP)제도가 도입돼 계획 및 설계의 일관성을 꾀하고 주거지역 내 청소년 유해시설의 설치를 엄격 제한키로 했다. 건설교통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혁신도시 기본구상'을 마련, 시도와 사업시행자에게 하달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별 기본구상을 짜도록 했다고 9일 밝혔다. 기본구상에 따르면 혁신도시 목표인구는 이전 공공기관 및 산학연 클러스터 형성 규모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점을 감안, 2020년까지 2만~5만 명으로 설정했다. 개발규모는 목표인구 수용을 위한 도시개발 면적, 이전기관의 특수성, 혁신클러스터 소요 면적, 유보지 면적 등을 토대로 융통성있게 산정토록 했다. 건교부는 자족기능과 쾌적성을 추구하는 신도시 수준(1인당 부지면적 25~50평)을 고려, 인구 2만 명은 50만~100만평, 5만명은 150만~250만평의 규모를 각각 제시했다. 주거지역은 24시간 연구ㆍ개발시설의 활용이 가능하도록 중심지구 가까이에 배치하고, 주거지역에는 안마시술소와 단란주점, 여관 등 청소년 유해시설의 설치를 제한토록 했다. 에너지 저소비형 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빗물, 중수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바람길, 자연채광, 통풍을 고려해 도시공간을 조성할 예정이다. 또 외국인 교원 임용, 공영형 혁신학교 설치, 공공도서관 등을 통해 우수한 교육환경을 갖춘 품격있는 문화도시로 만들고, 최첨단 미래형 도시교통체계와 범죄예방을 고려한 방범시설, 신도시보다 높은 녹지면적 등을 갖추도록 했다. 건교부는 오는 6월 중 해외전문가를 초청해 국제세미나를 열고, 여기서 나온 아이디어를 혁신도시 기본구성에 포함하는 한편, 개발계획 수립에 국내업체와 외국업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혁신도시는 사전환경성 및 광역교통계획 등 검토를 거쳐 하반기 지구지정을 완료하고 내년 중 개발 및 실시계획을 수립한 뒤 공사에 들어간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