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TA 협상타결에 따른 산업부문별 영향분석, 학계, 시민단체 등 지역 전문가로 FTA 협상타결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원체계 구성, 지역경제활성화 도모-
부산시는 세계 최대 경제권인 미국과의 FTA 협상 결과를 면밀히 분석하여 지역경제 시스템을 선진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회로 활용하기로 하고 이번 협상결과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경제계, 학계, 시민단체 등 지역 전문가로 FTA 협상타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성하여 협상 타결에 따른 산업부문별 영향을 분석하여, 우위산업은 효과를 극대화하고 취약산업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하여 지역경제을 활성화시켜나갈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한미 FTA 체결은 국가경제는 물론 지역경제에 메가톤급 파급효과가 예상된다”고 말하고, 항만물류산업과 성장잠재력이 풍부한 관광․컨벤션산업, 영화,영상 IT산업부문은 긍적적인 결과를, 농.축.수산업 부문은 부정적인 결과를 전망했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수혜산업분야의 효과 극대화를 위한 관련산업 구조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피해 예상분야에 대한 분야별 피해 최소화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역간, 지역내 산‧학‧연‧관 협력체제를 강화해 나가는 한편, 개방화‧세계화 가속화에 따른 국제경제 관련 정책연구는 물론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시민및업계의 FTA 대응능력을 강화시켜 나가기로 했다. 부산시의 실천계획을 살펴보면 시장이 주재하는 한미 FTA대책위원회를 분기1회 열어 분야별 대응방안에 대한 대정부 건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관.단체간 유기적 대응방안을 강구하고, 한미 FTA실무대책위원회를 격월로 열어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실행방안을 마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경제정책 및 연구 강화를 위해 부산발전연구원내에 경제,문화,항만, 수산 등 전문가로 구성된『FTA 전략연구팀』운영하고 지역 업체들의 의견수렴 및 영향분석, 부산지역의 대미 수출입 구조분석 및 향후 대응방안 마련, 피해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대책, 대정부 건의등을 추진하기 위해 지역경제 실태조사를 별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미주지역 시정 세일즈 활동을 적극 추진하여 미주지역 시정 세일즈 역량을 강화하고 LA 무역사무소를 미주지역 공략을 위한 거점 기지로 육성하기 위해 기능과 인원을 보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부산시의 흔들림 없는 적극적인 대응은 한미무역협정 타결 이라는 초유의 사태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계에 신뢰를 심어줄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부산경제의 “Up-grade”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