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행정자치부는 시·군 및 읍·면·동 행정조직을 지역주민들에게 원스톱 맞춤형 통합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주민생활지원서비스』 기능위주로 개편해 오는 7월 1일부터 1단계 사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우선 이 사업에 적극 관심을 보이고 있는 수원시, 의정부시, 과천시, 양주시, 가평군(전국 53개 시군구) 등 5개 시군을 대상으로 시범실시 하게 된다. 그동안 사회복지 관련 예산이 크게 늘어났음에도 도민들이 느끼는 복지체감도는 그대로인 이유가 근본적으로 복지전달체계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한 까닭이다. 최근 사회양극화 구조가 심화되면서 빈곤층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어려운 계층을 위해 제공하고 있는 복지서비스는 중앙, 지방정부 합하여 모두 256가지나 된다. 그러나 어려운 처지에 있는 주민의 입장에서 볼 때는 어디에 가서 어떤 서비스를 받아야 할지 난감한 실정이다. 각 서비스들이 여러가지가 되는 복잡한 경로를 통해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수혜자들로서는 이곳저곳을 찾아다니는 불편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이런 불편을 해소하고 주민들이 읍면동사무소를 방문하면 원스톱으로 종합적인 상담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자는 것이 이번 기능전환의 근본 취지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현재 분산되어 있는 복지, 고용, 여성, 주거, 평생교육, 문화 등 주민생활지원서비스 기능을 한 곳으로 통합하여 각 공공기관간의 연계시스템을 강화하고 민·관 협력 네트워크와 정보통신망을 갖추어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독거노인이나 소년소녀 가장, 생활보호대상자 등 복지수요자에 대한 현장 방문이나 심층상담, 사후관리, 정보제공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기존의 복지서비스 체계가 공급자 중심의 공급체계였다면 이제는 고객의 수요와 기대에 부응한 수요자 중심의 복지서비스 시대가 열리는 것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