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철도에 이어 국토 서남지역의 대동맥 역할을 하게될「오송~목포」간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 건설교통부는 지난해 12월 22일 발표한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안을 그간의 의견수렴 결과를 토대로 수정.보완하여 4.28일자로 SOC건설추진위원회(위원장 : 기예처 장관)에 상정을 요청하였다고 밝혔다. ※ SOC건설추진위원회 : 고속철도·신공항 건설 등에 관한 기본계획 및 중요정책등을 심의·조정하기 위한 위원회로 관계부처 장관, 관계 지자체장, 철도시설공단 이사장 등 30명 이내로 구성 건설기본계획(안)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건설노선 및 구간 - 지난해 6월 30일 경부고속철도와 호남고속철도의 분기역으로 선정된 오송에서 목포까지 총 230.9㎞ 구간 신선건설(서울에서 오송까지는 현재의 경부 고속철도를 공용) ② 중간정차역 - 남공주.익산.정읍.광주 지역에 설치 * 서울~목포 전구간 중간정차역 광명, 천안아산, 오송, 남공주, 익산, 정읍 광주 등 총 7개 - 남공주와 정읍에 역이 추가로 신설되는 경우 운행시간이 증가할 것이라는 견해가 있으나 정차역수를 5개 이내로 조정.운행토록 하는 “격역 정차” 방식으로 서울-목포간 당초 소요예정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계획 - 중간역 추가신설로 인해 도시지역 이용수요 및 백제문화권, 계룡산, 내장산 등 관광객 이용수요가 창출되어 경제성(B/C)이 0.31에서 0.39로 증가 ③ 건설 방식 및 기간 - 오송~광주구간 건설에 우선 착수하여 2015에 완공하고, 광주~목포구간은 오송~익산 구간 완공전에 착공하여 2017년까지 완공 - 이와같은 순차적 건설방식은 국가의 재정여건을 감안하고 호남지역에 고속철도 혜택을 조기에 제공하기 위함. ④ 소요재원 - 총 사업비는 약 10조 5,700억원이 소요될 전망 건설교통부에서 SOC건설추진위원회에 상정요청한 기본계획안과 지난해 12월 발표한 공청회 자료와 비교하여 보면 남공주 지역과 정읍 지역에 각각 역을 하나씩 추가 신설하는 내용외에는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건설교통부에서 이번에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안을 SOC추진위원회에 상정요청함에따라 조만간 정부안이 확정되어 사업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인다. 경부축과 함께 우리나라 양대 국가기간교통축인 호남축에 고속철도 건설이 완료되면 서울에서 광주간은 현재보다 60분 단축(153분→93분)된 1시간 33분안에 이동이 가능하게되고 서울에서 목포간은 현재보다 79분 단축(185분→106분)된 1시간 46분에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실질적인 전국 반나절 생활권이 실현되게 된다. 또한 건설단계에서 생산유발효과 20.7조, 임금유발효과 4.2조, 고용유발효과 17만 2천명 발생하는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당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