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천 꺼먹다리·원주역 급수탑등 15곳 문화재 등록·7곳 등록예고
강원지역이 근대문화유산의 보고(寶庫)로 떠오르고 있다.지난 2001년 문화재청의 등록문화재 제도 도입 이후 1870년대 개화기부터 한국전쟁 전후까지 강원도에서 축조된 건축물들의 근대문화유산 등록이 잇따르고 있다. 등록문화재로 등록되면 관리·보호·수리 등에 필요한 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다.강원도에 따르면 도내에서 지난해까지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건축물은 태백 철암역두 선탄시설, 철원 노동당사, 철원 감리교회, 철원 얼음창고, 철원 농산물검사소, 철원 승일교, 화천 인민군사령부 막사, 도계읍 급수탑,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등 9곳. 지난 9월에도 춘천문화원, 홍천읍사무소, 화천수력발전소, 화천 꺼먹다리, 태백 장성 이중교, 금강산 전기철도교량 등 6곳이 추가로 등록됐다.이어 지난달 구철원제2금융조합 건물지, 원주역 급수탑, 원주 원동성당, 원주 천주교 대안리공소, 삼척 천주교 성내동 성당, 동해시 옛 상수시설, 고성 합축교 등 7곳이 등록예고돼 지금까지 등록 또는 등록예고된 강원도의 건축물은 22곳에 이른다.이는 등록문화재 도입 이후 전국 16개 시·도에서 등록 또는 등록예고된 156곳의 14.1%를 차지하는 규모다. 시·도 평균(9.75곳)에 비해서도 배가 넘는 수치다.앞서 강원도는 지난해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 종교시설 교량 터널 관공서 문화시설 등 총 146곳의 건축물과 구조물을 조사했다.1944년 준공된 화천수력발전소는 기능과 디자인의 조형미가 돋보이며, 1956년 건립된 홍천읍사무소 건물은 관공서의 권위가 있는 지붕구조를 갖고 있다는 게 학계의 평가다. 1935년 축조된 장성 이중교는 석탄수송용 전차로 설치를 위해 다리 위쪽은 전차가, 아래쪽은 사람과 자동차가 다니게 만든 특이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화천댐이 준공되면서 1945년 건립됐다가 1981년 구만교가 준공되면서 폐쇄된 화천 꺼먹다리는 교량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구철원제2금융조합지는 한국전쟁의 참상을 증언하는 전쟁유적이며, 원주역 급수탑은 30년대 이전에 건축된 석조급수탑과 구별되는 일제강점기 후반의 철근콘크리트조 급수탑이다. 원주 원동성당은 정면 중앙부에 종탑이 있고 종탑의 상부는 돔형으로 구성된 독특한 양식이며 대안리 공소는 1900년대 한옥공소의 희소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이들은 30일간의 등록예고 기간을 거쳐 정식 등록된다. 그러나 이처럼 근대문화유산 등록이 계속 늘어나는데 비해 관리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도 많다. 대부분의 근대문화유산은 안내 동판이 설치된 것 외에 별다른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일제강점기와 광복전후를 거치면서 건립된 철원 노동당사는 별 관리 없이 외부에 노출돼 있어 부식현상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또 인근의 철원 제일감리교회와 얼음창고, 농산물검사소 등도 마찬가지다. 이와함께 문화재의 개인소유주 또는 지역주민과와의 갈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건물의 경우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되면 재산권을 행사할 수 없게 돼 개발과 보존을 둘러싸고 소유주와 마찰이 끊이지 않는 실정이다. 실제 지난 8월 등록예고됐던 춘천농협 건물은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되면 재산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이유로 농협측이 반발하는 바람에 결국 한달뒤 등록이 유보됐다. 지난 9월 등록된 춘천문화원은 춘천시 청사 신축 예정 부지 안에 있는 바람에 시에서 반대 입장을 밝혀 진통을 겪기도 했다. 이공우 강원도 환경관광문화국장은 “근대문화유산은 근·현대의 문화와 역사를 그대로 보여주는 귀중한 유산”이라며 “각 지역의 학교교육에 포함시키고 내고장 문화유산해설사 교육에도 활용케 하는 등 근대문화유산의 보전·관리에 중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