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오는 15일부터 판매하기로 한 지하철정기권이 시내 국철과 경기도, 인천시에서는 사실상 쓰지 못하게 됐다. 이에따라 인천과 경기지역 주민은 물론 국철을 이용하는 서울시민의 불편과 불만이 높아질 전망이다. 지하철 정기권은 특히 서울시가 이번 교통체계 시스템 변경 과정에서 실추된 위상을 회복하기 위해 관련부처인 철도청 경기도 인천시와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않고 급조, 졸속시행하면서 이들 부처의 반대에 부딪혀 있는 상태로 당분한 파행이 불가피할 전망이다.지난 11일 건교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건교부 수송정책실 주재로 건교부에서 수도권 지하철 정기권 발행 방안에 대해 논의를 벌였다.이날 회의에서 서울시는 소비자의 다양한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가 각각 정기권을 발행하고, 정기권 이용자가 지자체의 경계를 넘어갈 경우 그 요금에 대해서는 해당 지자체 간 정산을 통해 해결하자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철도청이 수도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도권 정기권’을 발행하고 할인 요금에 대해서는 승객의 사용 범위에 따라 해당 지자체가 부담하자고 제안했다.인천시는 “서울시가 정기권 도입 시행을 유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부담 기준이나 내용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부담 여부를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경기도는 “정기권 도입으로 인한 결손금은 국가가, 철도청 구간은 철도청이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철도청도 소비자 혜택을 위해 정기권 도입 원칙에는 찬성하지만 ‘무제한 사용’ 등 세부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서울시 방안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철도청은 사용 거리나 횟수를 제한해 손실을 줄이고 이용거리에 따라 현행요금의 90% 수준에서 정기권을 도입하자고 제안했다.이에 대해 서울시는 교통개발연구원, 철도기술연구원, 시정개발연구원 등 중앙부처와 각 지자체 산하 연구기관이 함께 합리적인 방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철도청과 이들 지자체는 12일 건교부에서 다시 회의를 가질 예정이나 합의점 도출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한편 서울시는 철도청, 경기도, 인천시와 합의가 이뤄지지 않더라도 서울지하철공사와 도시철도공사 구간에서는 계획대로 15일부터 정기권을 판매키로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