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흙흐름 방지시설 설치, 나무심기, 휴식년제 도입 등
경기도는 지난 21일 도 VIP회의실에서 31개 시·군 등산로 관계자가 참석한 실무협의회를 갖고 등산로 보호와 관리대책 등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 날 협의회에서는 토양침식 및 자연훼손 정도에 따라 등산로별 관리방안을 마련하되 가급적 과도한 시설물 설치는 지양하고 피해가 심해 꼭 정비가 필요한 지역에만 제한적으로 흙흐름 방지시설 설치나 나무심기 등을 실시하기로 하고자연훼손 정도가 비교적 적은 등산로에 대해서는 휴식년제 도입 등으로 자연적 복구방법을 도입하기로 했다.
또한 도는 이날 등산로 관리에 필요한 도 차원의 일반적 설계기준을 제시하고 시군에서 실시하는 등산로 정비사업에 대해 사전에 심사를 받도록 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하였다.
경기도 관계자는 “주5일 근무제 정착과 자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민의 75%가 년1회 이상 등산을 즐기고, 등산동호인 수가 500만에 이르는 등 최근 들어 등산객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하면서
“좋아하는 등산 지역도 일부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어 도시근교나 이름있는 산의 등산로는 과도한 이용으로 흙이 흘러내려 나무뿌리가 노출되고 등산로 폭이 넓어지는 등 훼손이 가속화되고 있어 등산로 보호가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이미 2001년부터 광교산 등 26개산의 등산로 100km에 대해 피해지 복구와 위험 지역에 대한 안전시설을 설치 한 바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