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를 비롯해 영덕, 울진, 울릉군 등 경북 동해안 지역에는 이농(離農)및 이어(離漁)현상으로 빈집이 800여채나 돼 주변 환경 저해는 물론 청소년 범죄 및 탈선의 온상이 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경북 동해안 시·군에 따르면 지난 80년대 이후 농·어촌지역에는 젊은층이 도시로 떠난데 이어 최근에는 이곳을 지키던 부모들도 노령으로 숨지거나 자녀들이 있는 도시로 이주하면서 매년 빈집이 발생하고 있다.
빈집을 지역별로 보면 포항 45채(남구청 20채, 북구청 25채), 울진 410채, 영덕 300채, 울릉 47채 등이다.
이들 빈집은 관리를 거의 하지 않고 방치하는 바람에 낡아 주변환경을 더럽히고 도로변과 가까운 일부지역에는 야간에 청소년들의 출입이 잦는 등 범죄 및 탈선의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선 시·군은 빈집 철거 등에 나서고 있으나 소유주들을 받기 쉽지 않은데다 철거지원 비용도 한정돼 있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
동해안 4개 시.군은 지난해 모두 92채의 빈집을 정비한데 이어 올해 87채를 정비할 계획이다.
현재 빈집을 소유주들이 직접 정비할 경우 한 채당 30만원을 지원해 주고 있으며 정비를 승낙할 때는 시·군이 위탁 처리해 주고 있다.
시·군 관계자들은 “농·어촌지역의 빈집은 매년 정비에도 불구하고 계속 발생할 것으로 전망돼 주변 환경개선에 큰 걸림돌이 될 것 같다” 면서 “소유주들은 농·어촌을 떠날 때 말끔히 정비해 줄 것”을 부탁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