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당한 사례 발견시 엄중조치 방침…개선방안 마련도
조달청은 통폐합 부처(14개 기관)를 대상으로 정부물품 관리 실태에 관해 현지 점검·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부실한 물품관리와 관련하여 물의가 야기되었던 국토해양부 및 보건복지가족부에 대하여는 조달청이 주관하여 4월 15일부터 현지 점검·조사를 실시하고, 나머지 지식경제부 등 12개 기관에 대하여는 4월말까지 각 기관에서 자체 재물조사를 실시토록 한 후, 문제점이 있는 기관에 대하여는 조달청이 5월 중 추가적인 특별점검·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와 병행하여 정부물품재활용센터에 대하여도 센터 운영상황 및 정부물품의 유출 등에 대해 조달청이 4월 중 현지 점검·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현지 점검·조사 및 재물조사가 완료되면, 그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문제 전반에 대해 검토한 후 조달청은 종합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개선방안은 행정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물품관리지침(불용품처분지침, 정부물품정비관리규정 등) 등을 마련하되, 개선효과가 개인과 기관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위법·부당한 사례가 발견될 경우 경미한 사항은 시정을 요구하고, 중대한 사항은 감사원에 통보하여 변상 등의 조치를 할 계획이다. 한편, 조달청은 정부물품관리 종합평가를 실시하여 54개 중앙관서(2,000여 기관)의 관리실태를 점검, 관리 우수기관 및 유공공무원을 포상하고, 부진기관은 집중 관리할 계획이며, 물품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2007년말 현재 대통령실 등 27개 국가기관이 이용하고 있는 “RFID 물품관리시스템”을 2010년까지 전 국가기관과 이용을 희망하는 공공기관으로 확산하여 정부 물품관리업무의 생산성, 정확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전파를 이용한 정보인식기술. 이를 이용할 경우 물품에 부착된 전자태그를 리더기를 통해 무선으로 인식하여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함에 따라 업무생산성이 기존 수작업 방식에 비해 최고 6.5배 향상 가능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