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살예방센터의 전화 상담사 17명이 3교대로 근무하며 연중무휴 24시간 운영된다.
코로나19 팬데믹부터 급증한 상담 건수는 1년에 2만 8천여 건에 이른다.
지난해 우리나라 자살자는 만 4천 4백여 명으로 하루 평균 40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에 정부가 자살을 사회적 재난으로 규정하고 예방 전략을 내놨다.
지난해 인구 10만 명당 28.3명인 자살률을 2034년 17명 이하로 40%가량 낮춰 10년 안에 OECD 1위라는 오명에서 벗어나는 게 목표이다.
이 목표는 우리 다음으로 자살률이 높은 리투아니아 자살률 17.1명을 고려해 설정됐다.
우선, 고위험군에 대한 대응과 관리를 강화다.
자살 시도가 발생하면 자살예방센터 직원이 현장 출동해 응급실에 동행하는 등 즉시 개입하도록 한다.
지금까지는 경찰과 소방을 거치거나 자살 시도자 본인이 동의해야 개입할 수 있었다.
취약계층 지원기관을 연계해 고위험군을 조기 발굴하고 지자체마다 '자살예방관'을 지정한다.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심리 상담과 법률 지원도 12개 시도에서 전국으로 확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