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올해 지하도상가 관리운영제도를 개선하여 실시, 시 예산 절감 및 재정확충을 위해 큰 성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시는 그동안 관내 15개 지하도상가에 대하여 88년도에 제정된 「지하도상가 관리운영지침」에 의거 관리함으로서 낮은 대부료 수입과 높은 보수비 지출로 연간 약10억원의 운영적자를 보여왔다.이에 따라 시관계자는 "지난 7일 지하도상가관리운영조례를 제정공포하고 그 동안 도로점용료로 15/1000을 부과하던 대부료를 공유재산사용료로 당해 재산평정가격의 50/1000으로 현실화하여 시 재정을 확충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최근 4년간 연평균 수입이 3억9천4백만원에서 13개 지하도상가가 유상으로 전환되는 2005년부터는 약 41억원의 운영흑자가 예상된다."고 밝혔다.또한 지하도상가관리체계도 그동안 시에서 구에 위임하여 상가법인에 위탁 관리하던 체계를 시에서 구 위임 또는 시설관리공단 위탁이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이를 상가법인에 재위탁하게 함으로써 상가관리운영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시는 또 상가 시설의 개보수 비용을 수익자 부담원칙을 적용하여 보수비를 임차인들이 부담하면 유상임대기간연장을 인센티브로 부여키로 함에 따라 최근 4년간 노후지하상가의 연평균 보수비 14억원의 시재정 부담을 절감할 수 있도록 했고, 임대보증금제도를 신설하여 2005년부터 적용키로 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이자수입도 예상된다.시 관계자에 따르면 "부평역 지하도상가에 대하여 국내최초로 상인부담의 개보수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63억6백만원의 사업비에 대한 시예산 부담을 해소하였으며, 최근 유상임대기간이 만료되는 중구의 신포·중앙로상가에서 자체개 보수공사를 신청하였고, 동인천역 및 부평역 주변 타 지하도상가에서도 자체개 보수사업을 계획하고 있어 이번 시에서 추진한 지하도상가관리운영제도 개선으로 시 예산 절감은 물론 낙후된 지하도상가의 시설현대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이영길 기자> kil@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