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발생원에서부터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추진 및 분리수거 체계 정립으로 자원화율을 제고시켜 나가기로 했다.
도는 실천을 위해 좋은 식단제 추진, 모범음식점 지정운영, Food Bank 운영 등을 지속 추진할 것이며, 이러한 줄이기를 통해서도 남은 음식물쓰레기에 대해서는 전량 자원화 할 계획이다.
도는 음식물쓰레기 발생의 53는 가정에서 배출되고 있으므로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및 철저한 분리배출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부들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올해에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잘하는 시·군의 부녀회, 쓰시협 (쓰레기처리를 위한 시민협의회) 등과 협의해 토론회를 개최해 보다 많은 주부들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여 남은 음식물 자원화와 감량화를 위한 정책을 도정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도는 산업의 발달 및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따른 인구밀집·도시팽창 등으로 인해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91년 이후 계속 증가하다가 ′95년 종량제 실시를 고비로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최근에는 둔화 및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한편 경기도의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지난해 2천151톤/일이며 48는 소각·매립 처리하고 52는 사료나 퇴비로 자원화해 가축 및 농가 등에 공급하고 있으나 올해에는 자원화율을 52에서 57로 목표를 선정 추진해 나가고 있다.
도는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를 자원화하기 위해 감량의무 사업장에 대한 지도점검과 음식물쓰레기 전용수거용기 또는 전용봉투를 이용한 분리배출 및 수거·운반 체계를 확대하는 한편, 총 315억원의 시설 건설비를 투자해 16개소 720톤 규모의 공공자원화시설과 민간분야에서도 54개소 1천444톤 규모의 자원화시설을 건설·운영하는 등 적극적인 자원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는 유기성 물질로 미생물을 이용해 분해할 경우 발생가스는 연료화하고 잔재물은 퇴비로 이용할 수 있는 귀중한 자원이나, 소각처리시 낮은 발열량과 많은 수분함량으로 처리효율이 떨어지며 유해물질이 배출될 우려가 있고, 매립할 경우에는 악취가 발생하고 침출수로 인해 토양오염, 해충번식 등 2차 환경오염을 일으켜 정부에서는 2005년부터 직매립을 법으로 금지시켰다.
도 관계자는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만들어진 음식물을 사람들이 모두 먹어야만 가장 효율적이나 음식에 대한 기호가 다양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가 발생되는 것이며 이를 100 자원화 시킬 때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15조원의 경제적 비용 절감뿐 만 아니라 자원으로 재생산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서민철 기자> mc@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