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2일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 문제에 대해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 됐을 때 종전선언을 하고 평화체제 협의와 핵 폐기를 동시에 진행시키는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노 대통령이 이날 청와대에서 이 신문 후나바시 요이치(船橋洋一) 주필과 회견을 갖고 "핵 포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3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노대통령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한국전쟁의 휴전 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기 위한 협의를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인식을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또 "노 대통령은 한국 정부가 북한의 핵무기를 용인할 가능성은 없다고 단언했다"며 "노 대통령이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인정하지 않는 이유로 국민들이 절대 납득하지 못할 것이며 북한의 군사력 자체에 알레르기를 지니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아울러 "북한이 시리아에 핵 기술을 이전했다고 하는 의혹에 대해 노 대통령은 증거를 본 적도, 설명을 들은 적도 없다. 불확실한 문제나 사소한 장애로 6자회담을 파탄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대일 관계에 대해서 노 대통령은 "일본이 화해와 협력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려는 의지가 보이면 새로운 사죄가 없어도 한국인의 과거 역사에 대한 반응은 작아진다"고 말했다. 중일 관계에 대해서는 "서로를 경계하고 군비를 확장하는 관계를 바꾸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있다. 우리도 불안하고 과거의 역사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다"며 노 대통령은 중일 긴장 개선이 한반도의 안정에 기여한다는 의견을 표명했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다. 이와 함께 "노 대통령은 한일간 현안으로 야스쿠니 신사와 역사교과서, 독도, 해저지명 문제를 언급했다"며 "후쿠다 총리는 대중의 인기에 영합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방일하고 싶었지만 후쿠다 총리는 (아세안+3 정상회의가 개최되는)싱가포르에서 만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