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2년 8월 24일 한중 양국간 국교 교류의 발판이 마련되었으나 한국기업에 대한 중국 투자는 269건의 2억 달러 수준에 불과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후 중국의 개혁개방정책과 한국의 세계화 경제전략, 상호보완의 경제구조 등에 힘입어 중국은 이제 한국의 최대투자 대상 국가가 되었다.
한중 양국의 지리적 인접성과 중국의 저렴한 인건비 그리고 중국시장의 잠재성 때문에 앞으로도 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는 증대할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의 중국 현지 투자기업들은 원자재의 약 70%를 한국에서 조달하므로 대중국 수출 물량도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해~한국간 2001년도 로컬(local) 물동량은 수출(West Bound) 8만7천498Teu, 수입(Eest Bound) 6만9천696Teu이며, 이중 한국 중부지방 및 호남지방 물동량이 국내전체물량의 약 30%(47,158Teu)를 점유하고 있는 현재, 주항차 2회 서비스를 실시할 당 항로가 개설되면 항차당 편도 약 75Teu 선적이 예상되며 생물과 수산물 등 고부가가치 냉동화물이 많아짐으로 로컬(local)물량의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된다.
또, 최근 5년간 한중간 여객증가율은 년 평균 18%로 나타내고 있으나 당 항로 개설이후 초기 예상 승객만해도 항차당 편도 한국인 여객 약 100명, 중국인 여객 약 150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천해의 관광지 제주도, 목포지역에 근접한 관광상품 개발로 중국의 관광객유치 및 상하이 지역 유명관광지의 유적지 방문 수학 여행단 및 휴가철 단체 관광객 등 한국인 관광객 유치도 가능하다. 목포~상해간 항로 개설에 따른 수출,수입 물동량 증가와 여객증가율은 지리적 특성과 주변 환경을 고려할 때 평균 증가율 이상 지속적으로 여객증대가 예상되며 해상실크로드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정영창 기자 jyc@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