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차 2단계 회의 개막…불능화·신고 이행방안 협의
정부 고위당국자는 27일 북한 핵시설의 불능화와 핵 프로그램 신고와 관련 “기술적·안전상의 제한 때문에 3개월이 충분한 시간은 아니지만 연말까지 해야 한다는 데 대체적으로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이날 오후 중국 베이징(北京)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개최된 제6차 6자회담 2단계회의 첫날회의가 끝난 뒤 “내년 초 핵 폐기에 들어갈 계획을 갖고 불능화를 얼마나 철저히 할 것인지 논의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아울러 “불능화는 비핵화 단계의 시작단계이고 핵 폐기는 내년 상반기에 개시할 예정”이라면서 “실제 핵 폐기 단계에 들어가면 불능화는 의미가 없으며, 핵 폐기가 종착점”이라고 강조했다. 북한 핵 프로그램의 신고와 불능화 논의과정의 이견과 관련, 우리 측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회의를 마친 후 “북한도 이번 회의에서 성과·합의를 이루겠다는 강한 의지가 있고, 다른 나라도 성과를 기대하기에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천 본부장은 “첫날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북·미간 협의시 북한이 할 수 있는 신고와 불능화의 수준과 다른 나라들이 기대하는 수준의 차이를 파악하는데 주력했다”며 “북한이 하겠다고 하는 신고 및 불능화와 다른 나라의 기대 수준이 여전히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어 “우리 측은 북한의 신고 및 불능화 수준과 다른 나라들이 요구하는 수준의 접점을 찾기 위해 나름대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등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천 본부장은 회담 합의문 도출과 관련, “결과에 대한 예단은 이르다”고 전제한 뒤 “28일의 비핵화, 신고 및 불능화 협의와 29일의 경제·에너지 지원 문제에 대한 논의 결과를 지켜봐야 어느 정도 합의가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앞서 이날 오후 4시 남·북한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참가국 대표단은 개막식을 겸한 전체회의를 열어 북한 핵시설 불능화와 핵 프로그램 신고의 구체적 이행방안 도출을 위한 회담 일정을 시작했다. 첫날 회의에서 각국은 △한반도 비핵화 △북·미관계정상화 △북·일관계정상화 ·경제 및 에너지 협력 △동북아 평화·안보체제 등 8~9월에 개최한 5개 실무그룹 회의 결과를 보고 받았다. 회담 이틀째인 28일 참가국들은 오전에 수석대표회의를 열어 북한이 연내에 불능화와 신고를 마치고, 나머지 국가들이 이에 상응하는 정치·경제적 조치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