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가 아니지만 승객들이 안전띠를 맸더라면 사상자를 크게 줄일 수 있었을텐데..."
지난 21일 경북 봉화에서 발생한 관광버스 추락사고의 주원인이 타이어 펑크.브레이크 파열 등 차량 결함이나 운전 부주의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안전띠 미착용이 인명피해 규모를 키운 결정적인 원인으로 조사돼 다시 한번 안전띠의 중요성을 실감케 하고 있다.
특히 승객들의 안전 확보를 위해 국도 등 일반 도로에서도 관광버스 등 대형버스 승객들의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22일 경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사고버스 탑승객 30여명중 상당수가 버스 앞부분에 뒤엉켜 있고 일부는 차량 밖으로 퉁겨져 나간 점으로 미뤄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아 인명피해가 커진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경찰은 운전사가 안전벨트 착용 안내 방송을 했는지, 승객들이 피곤에 지쳐 운전사 안내를 무시하고 안전띠를 매지 않았는지 등 안전띠 미착용 경위를 집중 조사하고 있다.
그러나 사고가 난 도로는 안전띠를 착용해야 하는 고속도로가 아닌 일반도로여서 운전사 뿐만 아니라 승객들도 안전띠 착용에 대해 무관심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안전띠는 지난 2001년 7월 25일 경기도 성남에서 발생한 버스추락사고에서 초등학생 40여명이 안전띠 착용으로 사망자가 한 명도 없었으나 하루전날인 7월 24일 경남 진주 관광버스 전복사고는 안전띠를 매지 않아 승객의 절반 가량인 20명이 숨지는 등 그 중요성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이에따라 고속도로에서만 승객들의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 돼 있는 현행 도로교통법을 국도 등 다른 일반도로에서도 관광버스 등 대형버스 운전자 및 승객들이 안전띠 착용을 의무화 하도록 법개정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북경찰청 관계자는 "현장 확인결과 승객들이 안전띠를 맸더라면 사상자를 크게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면서 "국도 등 일반도로에서 승객들의 안전띠 착용 의무화가 검토돼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또한 관광버스 승객들 대부분이 안전띠 착용 뿐만 아니라 버스내 음주가무행위 통제 무시 등 운전자의 지시를 따르지 않는 점도 사고의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관광업계는 토로하고 있다.
대구 운송업계 관계자는 "장거리 단체관광을 떠나면 승객들이 차량복도에서 음주가무를 하는 것은 다반사"라며 "오래전부터 내려온 시민들의 놀이문화가 하루아침에 바뀔 수는 없지만 승객들이 안전을 위해서는 운전자의 안내와 지시를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