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7일 “노무현 대통령이 다음달 8일에서 9일까지 호주 시드니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담 참석차 출국하는데 이를 계기로 한미정상회담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미측과 교감을 하기위해서 만나지만 구체적인 의제에 대해서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본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천 대변인은 이날 일부 언론이 ‘9월 말~10월 초 방미를 통한 한미정상회담을 추진하다 취소됐다거나 무산됐다, 또는 외교일정이 헝클어졌다’고 보도한 데 대해 “한미 정상회담 일정을 합의하기로 했지 어떤 날짜를 확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적절치 않은 표현”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노 대통령의 외교일정이 남북정상회담 연기로 뒤바뀐 데 대해 헝클어졌다고 보도한 것에 대해서도 “일정의 앞뒤가 바뀌면 서로 영향을 줄 수 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일 수도 있고 부정적인 영향일 수도 있고 어느 것도 아닐 수도 있다”면서 “외교일정이 헝클어졌다며 큰 일 난 것처럼 보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꼬집었다. 천 대변인은 APEC 정상회의 계기에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이 노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 한미 정상회담일 것이라는 보도에 대해서는 “이번에 만나게 되면 실무적으로 시간이 없어 다시 만날 가능성을 높게 볼 수는 없지만 아예 다시 만날 가능성이 없다고 단정하거나 그래서 걱정이라거나 다른 정상은 몇 번 만났는데 우리는 몇 번 만났다고 비교해 우려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또한 “한미 양국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언제든지 (정상회담을) 열 수 있는 가능성은 항상 남이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이 9월 말~10월 초에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에서 연설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확정된 바가 없다”며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계시고 노 대통령이 연설하면 좋겠지만 여러 가지 현실적인 것, 시간적인 것을 고려할 때 추석 연휴도 있고 10월 초에 남북 정상회담도 있고 해서 이뤄지기 어렵지 않겠느냐 그렇게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