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제2하수처리장 건설 사업이 집행부와 시의회의 의견 차이로 몇개월째 표류하는 바람에 사업비로 지원받은 국비를 반납해야 할 처지다.
구미시는 2005년 8월부터 낙동강 수계에도 오염 총량제가 시행되면 강물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면 건물 신축, 공장 입주 등 각종 지역 개발 사업을 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원평1동 1만여평의 부지에 사업비 750억원을 들여 원평·도량·봉곡·지산동과 고아읍 원호·문성·괴평리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6만t을 정화하는 제2하수처리장을 2006년 12월까지 건설할 계획이다.
이에따라 하수처리장 건설비(국비, 도비, 시비)로 지난해 100억원, 올해 241억원을 확보했고 올해 수계관리기금에서 8억8천800만원을 추가로 지원받아 조달청에 시공업체 선정을 의뢰해 지난 4월 중순 대우건설 등 5개사를 시공 업체로 선정했다.
구미시는 하수 처리장 예정 부지를 도시계획으로 시설 결정을 하기 위해 지난 1월부터 4차례에 걸쳐 시의회에 의견 제시를 요구했으나, 시의회는 ‘도시계획시설 결정도 하지 않고 시공 업체를 선정했다’는 점 등을 내세워 의견 제시를 유보하고 있다.
구미시의회는 제2하수처리장 건설 사업과 도시계획 재정비 추진에 관련된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해 조사특별위원회를 구성, 지난 10일부터 6개월동안 활동할 계획이어서 하수처리장 신설사업의 올 착공 여부는 불투명하다.
이때문에 구미시는 아직까지 시의회와 마찰을 의식해 정식 계약을 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하수 처리장 건설 사업이 올해 착공되지 못할 경우 구미시는 지난해 받아 올해로 이월시킨 국비 53억원과 도비 7억9천만원을 받납해야 돼 하수 처리장 건설 사업은 더욱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구미시 관계자는 “하수 처리장 신설 사업과 관련된 도시계획시설 결정안 수립과 시공 업체 선정 등 추진 과정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구미시의회는 “조사특별위원회가 조사를 한 뒤 문제가 없으면 가능한 빨리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