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항만, 특히 부산 광양항이 단순한 화물처리 의존형에서 부가가치 창출형으로 탈바꿈 된다.
이 같은 방침은 해양수산부가 최근 5개월간 외국 용역회사(Arther D. Little)에 기존항만정책 타당성 검토를 의뢰해 결정된 것을 14일 여수지방해양청 등에 통보해 알려진 것으로 세부 계획은 관계기관의 의견 수렴 등을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해양부는 이 계획서에서 “기존 항만이 화물처리 의존형이어서 주변 환경 변화에 민감한 환적화물 비중이 매우 높아 부가가치 창출이 어렵다”며 “항만배후물류단지에고부가가치 재가공(Reprocessing) 시설을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국내 항만은 1990년대 중반까지는 수출입 화물 의존형이었으며 현재는 수출입화물과 동북아 환적화물을 취급하고 있으나 중국항만의 지속적인 시설확충, 장기적인 항만시설 공급과잉, 중국·일본·대만과의 환적화물 유치 경쟁 심화 등이 예상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2006년까지 항만배후부지에서 재가공 화물을 창출해야 하며 2007년부터는 본격적으로 배후단지에 기업을 유치해 수출입화물과 동북아 환적화물, 재가공 화물을 동시에 취급하는 대륙 중계항만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해양부는 이를 위해 부산신항 배후단지는 ‘부가적 항만물류 지원기능 중심’으로, 광양항 배후단지는 지원기능 외에 ‘부가생산 기능 중심’을 더해 개발키로 하고 2005년 말까지 양항(兩港)에 최소 20만평의 배후부지를 조성키로 했다.
이에 따라 2008년까지 조성될 광양항 배후부지 가운데 일부(10여만평)는 3년 정도 앞당겨 완공될 전망이다.
해양부는 유치대상기업 선정 및 분석과 전담조직 보강 등을 내년 1월까지 끝내고 국내외 투자설명회와 대상기업 방문 등을 통해 유치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해양부는 이 같은 계획이 실현될 경우 현재 유럽 ·중국 등에서 일본 항만으로 수입 처리돼 국내로 들여 오는 생활용품과 소비재, 특수화학제품 등을 국내 항만에서 취급해 일본 등지로 배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덕일 여수해양수산청장은 “이 계획은 기존의 항만정책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획기적인 것으로 항만 개념 자체가 바뀐 것을 뜻한다”며 “일부 보완이 필요하지만 전반적인 추진계획은 차질 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