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시, 지표·시굴조사 겉핥기…개발논리 앞세워 ‘
포항시가 귀중한 문화재 보호에 따른 관리 시책이 겉돌고 있다는 지적이다.
포항지역 일대는 원삼국시대를 비롯한 청동기, 삼국시대의 주거지에 관련된 각종 문화재가 속속 출토되고 있으나 지표 조사는 물론 시굴조사까지 겉핥기로 하도록 방치하고 유물이 발견된다 해도 개발 논리를 앞세워 원형 보존을 원치않는듯 하고 있어 귀중한 문화재가 훼손되는 꼴이되고 있다.
한국토지공사가 지난 5일부터 본격공사에 착공한 남구 대송면 일대 포항4지방산업단지의 경우 전체 63만평 가운데 7만5000평에 대해 지난 7월부터 문화재 시굴조사를 펴고 있다.
더욱이 이 지역은 지난해 한국문화재단이 이 일대 일부 지역에서 삼국시대로 추정되는 가마터가 발견됐다고 지표 조사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으나 문화재 시굴 조사가 겉핥기로 추진돼 훼손이 따르는 등 말썽이 되고 있다.
그가운데 포항시는 갖은 변명으로 강건너 불보듯하고 있어 문화재 보호관리 시책이 엉망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게다가 경북체신청의 우편집중국을 유치하려는 북구 흥해읍 대련리 산 161-5번지 일대 인근 임야에 원삼국시대의 주거지등 문화재가 집중돼 있는 것으로 사학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이일대 1만여평에 달하는 임야에 문화재 시굴 조사를 벌이면서 7일도 안걸려 시굴 조사를 마무리하고 문화재가 단 한점도 없다고 밝혀 개발을 위해 겉핥기 시굴 조사를 한게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특히 우편집중국을 유치하려는 임야에는 문화재 지표 조사 당시 6점의 각종 항아리 파편 유물이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보존 가치가 높은 문화재가 상당수 출토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었으나 시굴 조사 과정에서 단 한점의 문화재도 출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포항시가 조성하고 있는 남구 호동 산 38번지 일대 쓰레기 매립장 조성공사에서 시도한 시굴조사에서는 원삼국시대의 생활 주거지인 고지성 마을터가 발견되기도 했었다.
조사 지역에서는 직사각형 모양의 규모가 거의 비슷한 청동기시대의 수혈주거지가 드러나 경북동해안 지역일대의 청동기시대의 취락 형태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또 이곳에서는 무문토기와 돌도끼 등 항아리 60여점 등 각종 유물 100여점이 발굴된 반면 우편집중국을 유치하려는 대련리 일대에 가진 문화재 시굴조사에서 단 한점의 문화재도 출토되지 않았다는데 대해 상당한 의문과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외에도 포항시 농산물 도매시장 자리에도 선사시대 때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각종 다양한 고분군이 발견됐지만 보존 가치가 낮다는 이유로 발굴하는데 그쳐 개발 논리에 밀려 문화재 보호 관리 시책은 뒷전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포항지역의 향토사학가들은 “포항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는 각종 유물들은 청동기시대 취락 형태와 생활상을 연구하는데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어 이를 보존하여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가치가 충분하다”며 “개발 논리만 앞세울것이 아니라 문화재 시굴조사를 신중하게 펴도록 현장에 나가 시가 감시 감독할 필요성이 있고 출토된 유물을 원형대로 다른곳에 옮겨서라도 보존하는 자세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시의 한 관계자는 ”문화재 시굴조사를 함부로 하는게 아니다”며 “보존 가치가 있는데 훼손할 리가 없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