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자회담 첫날 수석대표회담…신고·불능화 조기이행 논의
6자회담 우리 측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은 18일 “북한은 올해 안에 신고와 불능화를 이행할 의지가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천 본부장은 이날 오후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6자회담 수석대표회담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회담에서 2·13 합의 다음 단계 이행조치인 핵프로그램 신고와 불능화를 어떻게 신속하게 이행할 것인지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천 본부장은 또 “북한이 5~6개월 내라도 신고와 불능화 할 의지가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면서 “신고 범위에서 대해서는 2·13 합의에 모든 핵프로그램을 신고하게 돼 있는데 양자협의과정에서 김계관 대표가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 빠짐없이 신고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했다”고 전했다. 이어 “핵무기든 핵폭발장치든 북한이 갖고 있다면 모두 대상에 집어넣어야 한다”며 “신고 범위에 대해 이견이 없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힐 차관보 “올해 안 2·13 합의 2단계 조치 끝내는 합의 시도할 것”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회담에 앞서 기자들에게 “연내에 2·13 합의 2단계 조치를 끝내는 합의를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6자회담 수석대표회담은 오후 2시30분(현지시각)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개막돼 개막식 없이 곧바로 현안토론에 들어갔다. 참가국 수석대표들은 2·13합의 초기단계 이행조치의 진행상황을 평가하고 핵프로그램 신고와 불능화 등 중간단계 조치의 이행문제와 6자외교장관 회담 개최 일정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에 앞서 천영우 본부장은 북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 양자회담을 갖고 2·13 합의에 따른 이행조치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김계관 부상은 이날 중국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부부장과도 양자회담을 진행했다. 한편 정부 당국자는 17일 북미 양자회담 결과와 관련 “북한이 경천동지할 만한 요구는 없었다”면서 “적대시 정책이나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 요구 등은 얘기할 단계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북미 회담은 초보적인 협의”라며 “생산적이고 실무적인 협의를 진행했다”고 덧붙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