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영우 본부장 6일 방중…차기 6자회담 대책 협의
영변핵시설 폐쇄 등 2·13합의 초기조치의 조속한 이행과 차기 6자회담 개최를 위한 관련국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외교통상부는 6자회담 우리 측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6일 중국 베이징(北京)을 방문,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협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5일 밝혔다. 외교통상부는 이번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협의에서 2·13합의의 신속한 이행방안과 차기 6자회담 대책 등에 대해 의견교환을 가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양제츠 외교부장의 방북, 김정일 국방위원장 면담을 가진 데 이어 우리 측 수석대표와의 협의를 갖는 등 분주한 행보를 보이고 있어 조만간 참가국들의 의견을 종합해 차기 회담 일정을 확정할 것으로 보인다. IAEA, 9일 특별이사회 열어 사찰단 파견 승인 예정6자회담 차원의 한반도 비핵화이행 과정의 실무파트너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도 오는 9일로 예정된 특별이사회에서 지난달 실무대표단의 방북결과를 토대로 IAEA 사찰단 파견을 승인할 계획이다. 이미 IAEA는 실무대표단 방북결과보고서를 통해 IAEA와 북한은 △폐쇄 봉인 대상 핵시설의 목록을 제공하고 필요할 경우 목록 추가 △폐쇄·봉인된 모든 시설에 대해 IAEA 사찰단의 접근 허용 △적절한 봉인 감시를 위한 장치와 다른 검증장치 설치 허용 △북한 핵프로그램에 대한 핵사찰단의 완전한 접근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조치(safeguard) 적용 등에 합의했음을 밝혔다. IAEA 정식 사찰단이 9일 특별이사회 승인 후 오는 14일을 전후해 방북하면 2·13 합의 초기조치에 따른 영변핵시설의 폐쇄·봉인 절차에 들어가게 된다. 정부도 2·13 합의의 '행동 대 행동‘ 원칙에 따라 북한의 초기조치 이행에 대한 상응조치로 긴급에너지 지원분인 중유 5만t 제공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