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가 외교수요의 증대에 맞춰 국가외교역량을 강화하고 재외국민을 보호하는 영사서비스를 제고하기 위해 재외공관 10개를 신설하고 197명을 증원하는 등 인력과 조직을 대폭 강화한다. 외교통상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외교통상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이 3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됨에 따라 곧바로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직제개편에 따라 대사관은 니카라과 벨로루시 앙골라 예멘 크로아티아 투르크메니스탄에 신설되며 아랍에미리트연합 두바이, 이탈리아 밀라노, 독일 함부르크, 사우디아라비아 젯다에 각각 총영사관이 설치된다. 외교부는 신설되는 재외공관에 필요한 인력 35명을 증원하는 한편, 기존 재외공관에도 91명의 실무인력을 보강할 계획이다. 일부 실국에 대한 대규모 개편도 이뤄진다. 외교부는 외교정책실을 다자외교실로 개편하면서 국제기구 및 개발협력과 관련된 업무를 통합 관리하고, 효과적 개발협력사업 추진을 위해 개발협력정책관을 신설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일본 중국 등 증가하는 아시아 외교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한류 확산과 경제관계가 확대되고 있는 아시아 지역외교를 강화하기 위해 아시아태평양국을 동북아시아국과 남아시아대양주국으로 개편한다. 중국 일본 몽골 등을 담당하는 신설 동북아시아국에는 탈북자 업무를 전담하는 지역정책과가 신설되며 한·중·일 3국 간 고위급 협의와 역내 영토·역사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게 된다. 현재 직제상으로만 존재하고 있는 한반도평화교섭본부 내 평화체제교섭기획단에도 곧 국장급 단장과 직원이 발령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아울러 영사서비스와 재외국민보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재외동포영사국에 심의관 1명과 실무인력 11명을 증원키로 했다. 이 외에도 해외 경제사업활동을 지원할 필요성과 방문취업제 시행 등을 감안, 주재관 7인(과학산업기술 3인, 경찰이민 3인, 시설환경방재 1인)을 증원한다. 이번 개편안 시행에 따라 대사관과 총영사관 등 재외공관수는 총 147개로 확대되며 국장급 직위 3개와 과장급 직위 8개가 늘어나게 된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은 국가 외교역량 강화, 재외국민 보호, 에너지자원확보를 위한 공관 확충, 경제산업활동 지원 등 현장중심의 외교를 수행하고 전문인력을 충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