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형 당뇨 막는 실험 성공...세계적 학술지 게재 예정
미국에서 공부 중인 20대 유학생이 제1형 당뇨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당뇨병 발병을 막는 동물 실험에도 성공, 소아 당뇨 치료에 청신호가 켜졌다.미국 시카고대학 병리학과 양찐 후 교수팀의 이유진(27·여) 연구원은 몸 속 면역세포인 T-세포가 췌장 안의 림프성 구조에서 활성화되면서 인슐린을 만들어 내는 베타 세포를 파괴함으로써 당뇨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14일 밝혔다. 또 이 과정에서 암세포 괴사 인자의 하나인 ‘라이트’ 단백질이 림프성 구조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이 연구원을 제 1저자로 한 이번 연구결과는 셀(CELL)의 자매지로, 면역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이뮤니티(Immunitity)’ 온라인판에 실렸으며 9월호에 정식 게재될 예정이다.‘1형 당뇨’는 선천적인 영향이 크기 때문에 소아 당뇨로 불리는데 전체 당뇨환자의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팀은 또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실험에서 췌장 안의 림프성 구조 형성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1형 당뇨의 발병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데도 성공했다.이 연구원은 “기초 연구 성과이긴 하지만 췌장안의 림프성 구조 형성을 막는다면 1형 당뇨를 예방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특히 이번 성과를 이용하면 다른 자가면역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