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 부산지방식약청은 '04년도 2/4분기 부산항으로 수입신고된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및 용기·포장은 23,478건(중량 : 636,244톤, 금액 : 580,203천불)으로 전년도 동기 수입신고된 22,361건에 비하여 5% 증가(중량 : 15% 증가, 금액 :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합율은 0.27%(64건)로 전년도 동기 0.34%(75건)에 비해 감소하였다고 밝혔다.품목별 수입현황은 중량을 기준으로 농·임산물 381,200톤, 가공식품 216,783톤, 첨가물 23,073톤, 기구·용기·포장 13,383톤, 건강기능식품 1,805톤으로 농·임산물이 전체 수입량의 60%를 차지 하였고 농산물 중 밀이 197,659톤으로 가장 많이 수입되었으며 오렌지, 참깨, 보리, 옥수수 등이 그 뒤를 이었고,국가별로는 전체 87개 수출국 중 미국이 중량 및 금액에 있어 모두 1위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전체 수입중량의 33%, 금액의 23%로서 중국, 호주와 함께 상위 3개국에서 수입되는 식품등이 전체 수입량의 6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수입신고된 총 23,478건 중 64건(중량 : 433톤, 금액 : 595천불)이 부적합으로 판정되어 0.27%의 부적합율을 나타냈으며 이를 품목별로 분류하면 조미식품 10건, 과자류 7건, 김치절임식품 6건, 식물성 기타 5건, 음료류 4건, 인삼제품 3건, 기타 29건이고,국가별로는 중국 32건, 미국 9건, 필리핀 7건, 인디아 4건, 태국 2건, 기타국가가 10건으로 부적합 상위 5개국이 전체 부적합 건수의 84%, 중량의 94%를 차지하고 이중 중국이 317톤으로 전체 부적합 물량의 약 7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부적합 사유는 식품첨가물사용기준 위반 19건, 미생물(세균, 대장균, 대장균군)기준 위반 17건, 가공식품일반기준규격 위반 14건, 기구 및 용기포장기준규격 위반 2건, 잔류농약기준규격 위반 2건, 보관 기준등 기타 위반사유 10건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부적합 제품에 대하여는 수출국으로 반송하거나 타 국가로 반출 또는 폐기 조치토록 관할세관 및 수입자에게 통보하였다고 하였다.한편, 부산청에서는 자체 관능검사 및 무작위표본검사를 강화하고 위해우려 제품에 대하여 철저한 현장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수입식품검사업무발전민·관협의회" 구성·운영 및 외국의 위해정보를 신속히 수집하여 검사업무에 활용하는 등 수입식품등의 안전성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