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 거부할 상황 아니다…행동만 남아” ...힐 차관보 “IAEA 감시단 수일 내 방북 기대”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은 11일 “현재 방코델타아시아(BDA) 북한자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이 모두 열려있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내외신 정례브리핑을 갖고 “북한이 원하는 모든 문을 열어뒀기 때문에 북한 스스로 긍정적인 조치를 취하고, 2·13 합의를 이행되도록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10일 마카오 당국이 BDA 북한계좌의 자유로운 인출과 이체를 발표한 것과 관련 송 장관은 “그동안 적극적으로 노력해온 마카오와 미국 당국의 노력을 평가하고 환영한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또 “객관적으로 봐도 북한이 원하는 게 모자라서 안 되겠다고 대응할 상황이 아니다. 이쪽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해결됐고, 북한이 행동하는 것만 남았다”라고 강조했다. 시한준수보다 안정적 이행이 더 중요송 장관은 14일로 예정된 2·13합의 초기조치 이행시한 준수 여부에 대해 “우리로서는 이행시한 범위 안에서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중요한 것은 날짜가 며칠 더 넘어가느냐 아니냐가 아니라 2·13 합의에 따른 초기조치가 안정적으로 이행돼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핵시설 폐쇄·봉인 등 북한이 초기단계 조치 이행시한을 넘기는 것에 대해 송 장관은 “불가피한 기술적인 상황이 생겨서 지연되는 것이니까, 날짜를 지키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합의를 안정적으로 이행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북한을 포함한 6자회담 참가국 간에 형성돼 있다”고 덧붙였다. 미 재무부의 BDA 해제에 따른 북한 측의 반응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아직까지 이 조치에 대한 북한의 구체적인 반응을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송 장관은 이에 앞서 10일 저녁 방한 중인 리자오싱(李肇星) 중국 외교부장과 의견을 교환한데 이어 이날 오전 콘돌리자 라이스(Condoleezza Rice) 미국 국무장관과 전화협의를 갖고, BDA를 매듭짓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송 장관은 “한·미 양국은 BDA라는 세부적 문제보다는 2·13 합의 이행과, 향후 나아가야 할 여러 가지 조치를 조기에 이행돼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며 “양국은 2·13 합의라는 큰 틀 속에서 북한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북한, 미국 방북단에 2·13합의 이행 시사한편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이날 오전 외교부청사에서 송 장관을 면담한 뒤 “우리는 BDA 결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BDA가 이제 정말 해결됐다고 여긴다”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또 “(방북 중인) 빅터 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과 어젯밤 여러 차례 전화협의를 했다”며 “북한 측은 빌 리처드슨 주지사 등 미국 방북단에게 BDA가 해결되는 대로 매우 빨리 2·13 합의를 이행한다는 입장을 시사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오늘 또는 내일중에 북한 답변을 알 수 있을 것 같다”며 “국제원자력기구(IAEA) 감시단의 입북이 며칠 안에 이뤄지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