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억은 사용처 불분명…수사자료로 검찰에 통보
황우석 서울대 교수가 60억 원이 넘는 정부 연구비와 민간 후원금을 개인계좌로 관리하며,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규정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감사원은 이 중 재료비와 인건비 등 연구비 10억 원과 후원금 15억 원 등 25억 원은 사용처가 불분명한 것으로 확인돼 검찰에 수사자료로 통보키로 했다. 감사원은 6일 황우석 교수에 대한 정부 연구비 309억 원과 민간 후원금 60억 원 등 총 지원액 369억 원 가운데 집행액은 246억 원 이라고 밝혔다. 감사원은 이 중 최근 5년간 집행된 164억 원에 대해 지난달 16일부터 실시한 회계감사 결과를 중간 발표했다. 감사원 발표에 따르면 황 교수는 지난 2002년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과학기술부로부터 ‘광우병 내성소 개발’ 등 4개 과제에 대한 연구비 106억 원을 지원받았다. 황 교수는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연구보조원 53명의 통장과 인감을 개인이 고용한 직원에게 보관, 관리토록 하고 이들의 인건비 8억여 원을 자신의 개인계좌에 입금해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황 교수는 또 서울대 수의과대학에서 2004년 4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6차례에 걸쳐 실험용 돼지 494마리와 송아지 2마리 구입비 2억여 원을 농장주인 명의로 입금시킨 뒤 다시 개인계좌로 돌려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감사원은 이와 관련 황 교수가 연구원 인건비와 숙소 임차료 등으로 사용했다고 진술했으나 이에 대한 증빙자료가 없어 사용내역을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감사원은 특히 황 교수가 개인계좌에 그간의 강의료와 민간 후원금 등이 함께 섞여 사용되는 바람에 입금된 인건비만의 구체적인 사용내역을 확인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황 교수는 이와 함께 연구협약의 경우 서울대 관리규정에 따라 총장 명의로 협약을 맺고 연구비는 대학계좌로 받아야 하는데도 이를 어기고 S기업, D건설, 과학재단 등으로부터 본인 명의의 계좌로 입금받은 뒤 총 52억 원을 임의로 집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황 교수는 이 중 18억8700여만 원을 2004년 9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황우석교수 후원회’에서 모금한 후원금을 관리하는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연구비 명목으로 받아 7억 원은 자신 명의의 정기예금 통장에 예치하고 8억 원은 현금으로 인출, 5만 달러를 김선종 연구원 등에게 전달하는 등 연구 목적 이외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원은 또 박기영 전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도 2001년 12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황 교수로부터 ‘광우병 유전자 정보분석의 사회적 영향’ 등 2개 과제에 대한 연구비 2억5000만 원을 받았으나 연구기간 만료일까지 최종 연구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서울대도 최종 연구결과 보고서가 제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한국과학재단에 연구비 정산보고를 하는 등 위탁관리를 소홀히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의명 감사원 전략감사본부 심의관은 이번 감사결과 “황 교수가 연구 목적 이외에 사용했거나 사용처가 불분명한 부분은 검찰에 자료를 넘길 방침이어서 검찰 수사를 통해 유용 또는 횡령여부가 밝혀질 것”이라고 밝혔다. 감사원은 관계기관의 지도ㆍ감독상의 책임과 황 교수 및 박 교수의 회계책임 문제는 오는 13일부터 실시 예정인 국가 연구개발 사업 관리실태에 관한 감사를 통해 종합적으로 검토해 처리키로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