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우석 교수 성과와 함께 생명공학분야 세계적 우위 선점
국내 마리아 생명공학연구소가 세계 최초로 '냉동 배반포기배아 줄기세포' 미국 특허를 따냈다. 이에따라 우리나라는 황우석 교수팀의 복제배아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 제조기술과 더불어 생명공학에서 세계적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는 17일 마리아 생명공학연구소 박세필 박사팀이 냉동된 배아로부터 줄기세포를 만들어내는 기술을 2001년 미국 특허청에 특허출원해 4년만인 지난 7월 특허를 받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마리아 생명공학 연구소는 이번 특허 획득으로 냉동잔여배아를 이용한 줄기세포 연구 분야에 대한 기술력을 독점적으로 확보하게 됐다 인간 배반포기배아(A)에 특이적항인간세포항체(AHLA)를 사용한 면역절제술 후 영양배엽세포(화살표) 로부터 완벽하게 분리된 내부세포덩어리(화살표머리, B)와 이로부터 확립된 인간 배아줄기세포주(C). '냉동 배반포기배아'를 이용한 기술은 불임시술을 한 다음 사용되지 않고 5년 이상 냉동보관 돼 폐기처분 예정인 배아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방식.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가장 큰 걸림돌은 바로 생명윤리 논란과 복제 우려인데 이번 특허는 폐기처분될 냉동배아를 환자의 동의를 구해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방법에 비해 윤리적 논란을 피할 수 있어 주목된다. 박세필 박사는 이와 관련, "남녀간에 정상 수정된 배아만 사용하기 때문에 인간 복제 우려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며 "생명윤리 논란이 분분한 미국에서도 연구자들이 냉동잔여배아를 연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냉동배아로부터 줄기세포를 만들어내는 원천기술을 확보하게 돼 줄기세포와 관련한 국제경쟁력 뿐 아니라 파킨슨씨병이나 뇌졸중 등 난치병 치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 박사는 "국내에서 특허를 출원한 2000년 8월 이후 냉동 배반포기배아를 이용한 줄기세포 연구는 모두 특허권에 저촉된다"며 "세계적으로 줄기세포 관련 연구가 활성화될수록 특허권을 이용한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지난 2001년부터 '바이오 장기기술 개발사업' 일환으로 박 박사팀의 연구에 현재까지 모두 8억3000만원을 지원한 바 있다. 보건산업진흥과 김성수 사무관은 “연구자들의 노력이 우리나라를 바이오 강국으로 이끌고 있다”며 “올해로 연구 지원이 끝나지만 연구성과 평가 후 추가지원이 필요하다면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