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를 공식방문 중인 노무현 대통령은 25일 “남북관계가 열리고 우리 도로가 우리 기차가 중국, 러시아로 바로 연결되고 만주, 연해주 개방이 이뤄지고 또 한국의 상품이 철의 실크로드를 따라서 유럽으로 기차로 연결되는 그런 시대가 오면 우리 한국경제가 또 한번 기회를 맞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리야드 파이잘리아 호텔에서 열린 사우디아라비아 동포간담회에서 한국경제가 도약할 수 있었던 기회로 베트남과 중동 특수를 들고 “세 번째 특수는 북쪽에 있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특히 북한이 개발되면, 되는 시기가 되면 한국경제가 또 한번의 강한 경쟁력 가지고 세계시장에 힘차게 진출하는 계기가 된다”며 “그 문을 열기 위해 작은 문을 열기 위해 개성공단을 만들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장애가 많아서 더 넓히지 못하고 있다”며 “가장 큰 장애가 북핵이다. 그 문제가 해결이 안 됐다. 정말 많은 노력을 했는데 역시 열쇠를 쥔 쪽이 우리가 아니었다. 남이 쥐고 있는데 팔목 비틀어서 될 일이 아니다. 마음이 통해야 되는 일 아니겠나, 설득하기 위해 많은 노력도 하고 때로는 하고 싶은 말도 아끼고 절제하고 여러 가지 노력을 했다 하면서 했는데 이번에 될 거 같다”고 전망했다. 또 “미리 김칫국물 마시는 것은 신중한 지도자는 하지 않는데, 근데 저는 반대로 생각한다”며 “나중에 가서 우리 국민들 낭패 시킬 일이 아니면 기분 좋은 일 미리 좀 같이 나누기도 하고 나중에 아닐 때도 같이 감당해 나가는 그런 관계가 좋다고 생각하는데, 이번에는 미리 기분 내자는 것은 아니고, 느낌이 있다 잘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남북관계, 6자회담이 풀릴 거냐 안 풀릴 거냐 하는 문제에 관한한 약간은 앞선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며 “이번에 잘 될 거라는 제 말 맞으면 제가 어깨에 힘을 좀 줄 것이다. 그동안에 받았던 구박이 너무 분해서다”라고 말해 참석자들의 웃음을 유도했다. “친북도 하고 친미도 해야 대한민국 산다”노 대통령은 특히 “북한 보고 말하자면 독하게 안 한다고 별로 퍼준 것도 없는데 보기에 따라 퍼줬다고 해줄 수 있지만 그 정도의 지원은 꼭 해야 한다”며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생각한다. 이런 투자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퍼준다고 하고, 너 북한하고 친한 정권이냐, 친북 정권이냐? 세상에 대한민국에 친북 정권이 어디 있을 수 있나? 앞으로 대한민국이 살자면 친북해야 한다. 친미도 하고 친북도 하고”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친한 친구가 되고 나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세상을 열어갈 수 있지 않느냐, 항상 미래를 새롭게 만들기 위해 과거를 극복할 것은 해야 한다”며 “한국전쟁은 국민들로서 잊기 어려운 일이기는 하나, 그러나 옛날 일만 가슴에 담고 그것 때문에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 새롭게 열어가야 할 길을 열지 말자고 하는 것은 결국 우리가 손해 보기 때문에 가긴 가야 한다. 이번에 잘 될 거 같고 되면 한국이 또 한번 그야말로 도약의 기회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중동 특수의 원조격인 사우디 동포들을 만난 노 대통령은 또 “사우디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나라 가서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열심히 해서 성공하고 그 나라 질서를 존중하고 이런데서 모범을 보이고 해서 항상 칭찬을 한다”며 “다른 데서는 그런 얘기를 들으면 감동이 크지 않은데 이곳에 와서 이야기 들으면 크게 감동이 되고 가슴이 찡하기도 한다. 너무 덥고 살기 힘든 곳 같아서 이곳에서 애쓴 분들 생각하면 각별히 가슴이 찡하다”고 고마움을 전했다. 이어 “고향에서 같이 자란 아주 친한 친구 한 사람이 여기 노동자로 왔다가 고향에 못 돌아왔다”며 “사고가 있어서... 중동, 한국의 경제를 생각하면 그때 사람들이 항상 기억난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