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영우 본부장 “HEU 의혹규명 중요성 북측에 전달”
정부는 5일 “2·13 합의에서 명시한 초기단계 이후 진행될 ‘핵시설 불능화 조치’의 내용에 대해 북한과 다른 참가국사이에 전혀 이견이 없다”고 밝혔다. 정부 당국자는 이날 오후 비공식 브리핑을 통해 지난 3일 뉴욕에서 진행된 6자회담 우리 측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북한 측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과의 면담에서 “북한은 핵시설 불능화(disabling)조치가 더 이상 가동 불가능한 상태로 가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확실히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2·13 합의에서 6자회담 참가국들은 북한이 핵시설 불능화 조치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복귀를 수용할 경우, 최대 중유 100만t으로 환산되는 에너지와 경제 및 인도적 지원을 북한에 제공하기로 한 바 있다. 정부 당국자는 또 고농축우라늄(HEU) 프로그램 문제와 관련 “천영우 본부장은 김계관 부상에게 앞으로 이 문제에 관한 여러 가지 의혹들을 규명을 잘 하는 것이 2·13 합의를 순탄하게 이행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관건이 될 것이므로 규명하는 데 특별히 신경 써 줄 것을 당부했고, 김 부상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다음주 중 개최예정인 것으로 알려진 경제 및 에너지 협력 실무그룹 1차 회의에 대해 “북한이 무엇을 원하는지 들어보는 것이 우선”이라며 “북한도 이 같은 상황을 알고 적극적으로 많은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미국 행정부 내의 기류와 관련해선 “북한 비핵화를 외교적으로 달성해야겠다는 것에 대한 확고한 정치적 의지가 있는 것은 확실하다”며 “비확산 근본주의자들의 목소리가 약화되고 외교적으로 해결하려는 사람들의 입지가 넓어졌다는 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