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변인 논평으로 아베 총리 발언에 강한 유감 표명
외교통상부는 3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과거 일제의 군대 위안부 동원에 강제성이 없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데 대해 “역사적 진실을 호도하려는 것으로, 우리 정부는 이에 강한 유감을 표하는 바”라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조희용 대변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아베 총리의 금번 발언은, 군대위안부와 관련하여 강제성을 인정하고 반성과 사죄를 표명한 1993년 ‘고노 관방장관 담화’를 계승한다는 일 정부의 거듭된 입장 표명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일측의 반성과 사죄의 진정성을 의심케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외교부는 이어 “우리 정부는 일본의 책임 있는 지도자들의 올바른 역사인식을 다시 한번 촉구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지난 1일 ‘고노 담화’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강제성을 증명하는 증언이나 뒷받침하는 것은 없었다”고 말했다. AP통신도 아베 총리의 발언은 1938년 일본 육군성이 헌병·경찰과 연계해 위안부를 모집하라며 중국 주둔군에 보낸 문서의 내용과도 모순된다고 꼬집었다. 일본 육군성이 중국 주둔군에 보낸 문서는 지난 1992년 일본 방위청 도서관에서 발견돼 고노 요헤이(河野晋三) 당시 관방장관이 군대 위안부의 강제 연행을 인정할 수밖에 없게 만들었던 결정적인 자료다. 이에 따라 일본은 1993년 고노 관방장관의 담화, 일명 ‘고노 담화’를 통해 일제가 태평양전쟁 당시 종군 위안부를 동원하는 과정에서 일본군과 일본 관리들이 관여했다는 사실을 인정한 바 있다. 미국을 방문 중인 송민순 외교부 장관도 2일 워싱턴 레이건 빌딩에서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와 한미경제여구소(KEI)가 공동 주최한 오찬 연설에서 아베 총리 발언에 대해 "2차 대전 중 일제 성노예 강요를 의심하는 사람은 진실을 정확히 직면해야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