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오는 13일부터 15일까지 경복궁 흥례문 광장에서 '조선시대 대사례의(大射禮儀 - 임금이 성균관에 행차하여 옛 성인에게 제향한 뒤에 활을 쏘던 의식)'를 재현한다. 조선왕조 통치질서의 근간인 오례의(五禮儀)중 군례에 속하는 ‘대사례’는 왕과 신하가 활쏘기를 통해 군신간의 예와 화합을 유지하고, 군왕으로서 국가통치의 중요한 덕목인 학문적 소양과 더불어 무예적인 소양을 갖추기 위해 조선 초부터 거행된 의식이다. 이번에 재현되는 ‘대사례’는 1743년 음력 윤달 4월 7일 영조가 성균관에 행차하여 행한 문묘작헌례(文廟酌獻禮), 알성 문무과시험 및 합격자발표 등 일련의 행사 중 대사례 부분만을 관련 기록인 '대사례의궤'와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재구성했다. 13일, 14일, 15일 각각 오후 2시부터 약 1시간 30분 동안 진하의(進賀儀-국왕에 대한 신하들의 하례의), 어사례(御射禮-국왕이 활을 쏘는 예), 시사례(侍射禮-문무백관이 활을 쏘는 예), 부대행사(상벌 및 축하공연)를 내용으로 펼쳐진다. 임금과 8명의 신하가 4발씩 총 36번 행하는 활쏘기는 행사의 백미다. 소품으로 사용되는 활과 화살은 임금이 사용하던 어궁(御窮), 어시(御侍)를 포함하여 문헌고증을 토대로 재현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