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2년부터 3100점 인양...문양 등 보존 상태도 좋아
15년간 논쟁이 끊이지 않았던 새만금 간척사업이 우리에게 여의도의 140배에 달하는 국토 확장만을 선물한 것은 아니었다.새만금사업은 33㎞의 방조제로 바닷물을 막는 과정에서 빠른 유속으로 해저 퇴적층의 급격한 유실을 가져왔고 이는 3100점이 넘는 수중의 보물, 고려청자를 안겨줬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갯벌 층이 씻겨나가면서 800여년 동안 잠들어 있던 고려청자가 속살을 드러내게 된 것이다.2일 문화재청과 새만금사업단 등에 따르면 이 유물들이 해저에 존재한다는 사실은 2002년 4월 한 어민이 9t짜리 소형 저인망어선으로 군산시 옥도면 비안도 근해에서 고기잡이를 하던 중 그물에 걸려 올라온 고려청자 22종 243점을 관계당국에 신고함으로써 알려지게 됐다.신고를 받은 문화재청은 산하 목포해양유물전시관 수중탐사팀을 동원, 예비탐사를 실시해 같은 해역에서 고려청자 211점을 더 건져 올렸다.이후 종합적인 발굴이 시작돼 지난 6월까지 5차례에 걸쳐 모두 3100여 점의 고려청자를 인양했다.이들 청자는 발(바리), 접시, 대접, 통형(원통모양) 잔 등 종류가 다양하며 문양은 양각 또는 음각의 연꽃무늬와 모란무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온전한 것이 많아 고려청자 연구는 획기적인 전기를 맞고 있다.이들 해저 유물이 어떤 까닭으로 해저에 침몰해 묻혀 있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새만금방조제 건설의 영향으로 이 해역의 물살이 빨라져 해저 퇴적층이 깎여나가면서 노출된 것으로 해양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