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단 · 치료 · 복원…올해 착공 2008년 완공
문화재를 과학적으로 진단·치료·복원하는 '문화재 종합병원' 건립 공사가 2008년 완공을 목표로 올해 착공된다. 그동안 중점 관리가 필요한 문화재가 급증하는데도 전문 보존처리기관이나 인력이 부족해 어려움이 컸다. 문화재 종합병원이 완공될 경우 지정문화재는 물론 사실상 보존관리가 되지 않았던 비지정문화재도 빠른 시일 내에 진단·치료·복원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과학적인 보존기술·전문인력 등이 확충된다. 기획예산처는 13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내에 2008년까지 문화재 종합병원을 건립키로 하고 올해 예산에 시설공사비로 20억 원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문화재 종합병원은 총사업비 215억 원이 투입돼 지상 4층, 지하 1층 등 2166평으로 건립되며, 병원장(3급)을 주축으로 보존과학연구실, 복원기술연구실, 모형복원실, 무기 및 유기 유물실 등 5개실, 인력 66명 정도로 구성될 예정이다. 그동안 국가지정문화재와 출토유물이 연간 각각 100여건, 3만여건씩 증가하고 환경오염·재난 등으로 중점관리가 필요한 문화재가 급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보존처리 능력은 현저히 떨어졌다. 현재 보존처리가 필요한 문화재는 약 400만 점에 달하지만, 연간 처리되는 문화재는 1만2000점에 불과하고 대기기간도 평균 5년이나 된다. 기획예산처는 이번 문화재 종합병원 설립으로 체계적 문화재 진료복원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돼 '사후약방문식 문화재 보존'에서 '예방 보존정책'으로 보존방식이 전환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병원 설립 후 현재 0.3%에 불과한 문화재 보존처리율이 50%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는 주로 출토유물 위주로 복원하고 비지정문화재는 처리하지 못했으나, 앞으로는 지정문화재(25%), 비지정문화재(25%), 출토유물(50%) 등 모든 문화재에 대한 보존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문화재 전문 보존처리기관이 생김으로써 복원기술과 복원재료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되며, 거의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개인소장 비지정문화재에 대해서도 사전 예방적 보존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