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가운데 실업자 또는 정규교육을 마친 뒤 교육훈련을 받지 않으면서 무직 상태에 놓여있는 유휴인력 규모가 133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동연구원 이병희 연구위원이 지난 6월말 현재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를 토대로 ‘청년층 노동시장의 구조변화’를 분석해 18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가운데 실업자가 24만2천명, 교육훈련을 받지 않고 무직 상태(비통학 비경제활동 인구)로 남아있는 사람이 108만7천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전체 청년층 유휴인력 규모는 학교 졸업, 중퇴자의 25.4%인 132만9천명에 달해 학교를 마치고도 4명 가운데 1명이 ′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의 유휴인력 비율이 31.8%(96만 명)로 남성의 16.7%(36만9천명)에 비해 2배나
가까이 높았다. 특히 20대 후반 여성의 경우 육아, 가사 등의 이유로 유휴화 비율이 41%에 달했다.
따라서, 이 연구위원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제 산업정책과 고용정책의 연계를 통한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 노력 ▶노동력 수요 변화에 대한 정보제공을 통한 청년층의 눈높이 조정 ▶중소기업의 근무환경 개선 지원 ▶교육의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취업 실태 공표제 도입을 통한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윤만형 yunmh@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