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9일 제주도에서 시작된 민주당 차기 대통령 후보 경선이 50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이인제 상임고문의 경선포기로 사실상 지난 4월 17일 이후에는 노무현 후보의 선출이 유력시되는 가운데 정동영 고문과의 마지막 경선을 마친결과 노무현 상임고문이 차기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
민주당이 헌정사상 처음으로 일반 국민을 특정 정당의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시키는 `국민참여경선제′를 실시하여 국민들의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경선이 끝난 현재 이번 대선후보 경선에 대한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민주당의 경선 결과를 보면 실패로 끝났다 할 수 있다. 끝까지 가지 못하였을뿐 아니라, 당내의 분열 양상을 가중시켰다.
경선 초반에는 각 후보들간의 돈 문제를 들고 나와 경선에 참여한 후보가 사퇴하는가 하면 경선 중반으로 갈수록 음모론이니 색깔론이니 하는 문제들을 들고나와 경선의 질을 떨어뜨렸다. 무엇보다 충격적인 것은 노무현 후보와 1·2위를 다투며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이인제 고문이 경선 종반에 후보직에서 사퇴함으로써 막판에 가서는 경선을 치룰 후보가 두명으로 좁혀지는 상황까지 갔다.
또한 처음으로 시도된 국민경선에 대한 관심이 많았으나 실제로 경선에 참여한 대다수가 당원들이었으며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이 경선에 참여한 비율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선거인단 가운데 민주당 대의원 몫의 20%와 일반당원 몫 30%가 문제가 되는데 50%의 선거인단 선정은 사실상 지구당 위원장 개인이 좌우할 수 있다. 여기에 일반 국민들은 자신들도 모르는 사이 당원으로 등록되는 경우도 있다. 이를 포함해 본다면 실제 경선과정에서 일반 국민이 참여한 비율은 10%이내일 것이다.
소장 당직자들도“당원 선거인단도 국민선거인단처럼 당원명부를 놓고 무작위 추첨하도록 의무화하거나 참여를 원하는 모든 당원과 국민들에게 투표권을 주는 방식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어 이번 경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일반국민의 정당에 대한 소속감이 적고, 특정 정당의 지지도가 지역적으로 불균형한 상태에서 선거인단 모집과정중 `조직 동원′의 시비 가능성을 해결하는게 국민경선제의 정착에 급선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경선에 직접 참여하는 유권자라면 경선에 반드시 참석하여 더 좋은 후보를 선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올바른 국민경선제 정착은 국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올해 첫 시도된 국민경선제를 앞으로 지속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노력과 보안이 필요할 것이다.
<최현숙 기자> chs@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