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균인상률 5.1%, 전년대비 0.9%P&nbs
올해 기업 3곳 중 1곳의 임금이 동결되거나 오히려 하향 조정되는 등 평균 임금인상률이 지난해보다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노동부에 따르면 종업원 100명 이상 기업 5천909곳중 지난달까지 임금교섭을 끝낸 450곳(7.6)의 타결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액기준 평균 임금인상률은 5.1로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임금교섭을 끝낸 기업(5천751곳중 413곳)의 평균 임금인상률 6.0에 비해 0.9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특히 지난해 임금을 동결 또는 하향 조정한 기업이 24.2(동결 23.7, 하향 0.5)였지만 올해에는 종업원 300명 미만 사업장을 중심으로 동결 32.7(147곳), 하향1.1(5곳) 등 33.8로 급증했다.
임금인상률은 민간부문의 경우 지난해 6.0에서 올해 5.2로 0.8포인트 낮아졌고 공공부문은 7.5에서 3.2로 하락폭이 컸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모든 사업장의 임금 인상률이 전년 동기 대비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종업원 1천∼4천999명 기업의 경우 지난해 6.0에서 올해 4.0로 큰 하락폭을 보였다.
반면 5천명 이상 기업은 지난해 6.1 인상에서 올해 5.7로 인상률이 다소 낮아졌지만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한 기업은 한 곳도 없었다.
노조가 있는 기업(지난해 6.2, 올해 5.8)은 노조가 없는 기업(지난해 5.9,올해 4.5)보다 임금인상률은 높고 하락폭은 적었지만 임금을 동결한 사업장의 비율(노조 47.4, 비노조 21.4)이 높았다.
노동부는 "지난해 내수부문 위축 등으로 인해 임금 인상보다 고용 안정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며 "그러나 총선 이후 본격화될 주요 사업장의 임금교섭에서 주 40시간제와 비정규직 처우개선 등의 주요 쟁점들이 슬기롭게 해결되지 않을 경우 경쟁력 약화와 고용 불안 등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