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육상교통수단의 환경성 비교분석」연구(책임자: 김준순 박사)를 통해서 철도가 도로보다 "3배 이상" 환경친화적이라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교통의 환경영향을 대기오염, 온실가스, 소음, 토지이용, 교통사고, 교통혼잡 등 총 6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는데, 평가시점은 2000년과 2010년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지금의 교통정책이 계속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2000년 교통사고 및 교통혼잡 비용은 교통개발연구원에서 매년 산출하고 있는 자료에 근거하였다.
2000년 한 해 동안의 총 교통환경비용은 49조원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중 대기오염비용이 11조 6천억원(24)으로 가장 높고, 혼잡비용이 11조 3천억원(23), 교통사고비용이 9조 2천억원(19), 토지이용비용이 9조원(18), 온실가스비용이 5조 9천억원(12), 소음비용이 1조 9천억원(4) 순으로 나타났다.도로와 철도로 구분하여 산출한 환경비용을 여객 수송량(인·km)과 화물의 수송량(톤·km)을 단순 가산한 수송량으로 나눈 결과, 도로가 철도보다 대기오염비용은 3.1배, 온실가스비용은 3.6배, 소음비용은 2,1배, 토지이용은 1.0배, 교통사고비용은 646배로 높게 산출되었다. 이때, 철도의 혼잡비용은 없다고 가정하였다.
도로에서 한 대당 대기오염을 제일 많이 배출하는 차종은 대형버스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는 대형트럭과 택시 순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비용에서는 단위여객(인·km)기준으로 택시가 가장 높은 24.5원이고 그 다음으로는 자가용이 12.9원, 대형버스가 11.4원, 기차가 5.5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위화물(톤·km)기준으로는 대기오염비용은 도로에서 46원, 철도에서 10원으로 평가되었다.
온실가스 배출의 경우 동일한 수송량을 가정하였을 때 여객에서는 도로가 철도보다 2배 이상, 화물에서는 도로가 철도보다 10배 이상 많이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0년 기준으로 환경비용을 평가한 결과, 총 교통환경비용은 약 56조원으로 증가하였다.
조판식 기자 cps@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