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이자 소설가 윤후명이 백여 가지의 꽃, 나무에 얽힌 사연을 엮은 산문집 <꽃>을 펴냈다. 그 동안 그의 소설 곳곳에 등장해 저마다 아름다운 무장을 이루어냈던 꽃과 나무에 대한 묘사들은 저절로 나온 게 아니다. 저자 스스로 “꽃에 바친 시간은 참으로 길다. 태어나면서부터라고 말하고 싶을 지경인데, 그럴 수 없으니 철들면서부터 라고 말한다”라고 고백할 만큼 꽃에 대한 저자의 사랑은 깊다. 학창시절 그는 문예반이 아닌 원예반 소속이었고, 그의 꿈은 시민, 소설가가 아닌 식물학자였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본격적으로 쓴 것만도 삼 년이 넘을 만큼 저자가 꽃과 나무들을 곁에 두고 사귀면서 오래 전부터 꾸준히 써온 글이다.
<꽃>을 보다보면 우리 시에 이토록 많은 꽃들이 등장했었나 싶다. 저자는 시에 대한 사랑을 꽃에 이입시키는 것을 잊지 않는다. <모란이 피기까지>, <인연설화조><복단여정>의 모란, <4월의 노래>의 목련, <사랑하고 싶은 날>의 앵두나무, <상주 모심기노래>의 연, <국화 옆에서>의 국화 등 시를 통해서 되새기는 꽃 더욱 향기롭다. 저자의 글에 따르면 서울에서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봄꽃은 ‘노루귀’다. 겨울의 오랜 침묵을 뚫고 마악 가냘픈 꽃대를 뽑아올리는 하얀꽃, 연분홍꽃, 연보라꽃, 저자의 기다림이 이제는 멀게만 느껴지지 않는다. 봄은 그렇게 온다. “이 글은 식물에 경의를 나타내고자 하는 내 뜻의 소산이다. 꽃의 빛깔, 향기, 모습에 황홀하다. 꽃은 우리를 뇌쇄시키려고 아름다운 것은 아니다. 그것은 자신의 생존을 위한 눈물겨운 몸짓이다. 그 몸짓에서 삶을 얻고 위안을 얻는 우리는 꽃을 최상에 두고 경배할 수밖에 없다. 이 사실을 새삼스럽게 함으로써 식물에 진 빚을 티끌만치라도 갚을 수 있으면 하는 마음이다.”-- 작가의 말 중 ..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