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일 수백명의 엄청난 인명피해를 낸 대구 지하철 참사 직후 전국의 지하철에 비상이 결렸다.
대구 지하철 사고로 방화 모방범죄 등 각종 사고가 일어날 것을 대비 관련 공사들은 경계근무에 들어섰다.
서울, 수도권 지하철은 시내 280개 모든 지하철역내에 역무직원 외 공익요원 1800여명을 긴급 투입, 순찰활동과 위험물 탐지작업등을 벌이고 스프링클러 등 소화시설을 집중 점검했다. 자체 청원경찰 154명과 지하철 방범수사대 192명도 역구내 요소 요소에 배치해 순찰을 대폭 강화했다.
또, 승객들에게는 역내 방송을 통해 수상한 사람이나 위험물질을 보면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고 소화기 사용요령과 긴급상황 시 대피 요령 등도 계속해서 공고했다.
부산지하철공사도 19일 아침 긴급회의를 열어 객실내의 인화성 물질 등에 대한 조치를 강구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미 대형 참사가 일어난 직후 조치하는 것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이라며 시민들은 지하철에 대한 불신을 수그러뜨리지 못했다.
이번 대구 지하철 사고가 더 큰 인명 피해를 내게 된데에는 타면서 강한 유독가스를 내뿜는 지하철 내부의 인화성 기물들도 주 원인이었지만, 화재가 발생했는데도 작동되지 않는 경보기와 스프링클러 등 지하철 안전시설물들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은 것도 큰 원인으로 조사되었다.
각 공사들이 이에 대비 각종 안전시설물들 점검에 나섰으나 사고 다음날인 19일에도 비상등이 꺼져 있거나 안전표지판이 제대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 역이 많았다.
이에 대해 한 시민은 “땜질식 조치가 아닌 확실한 조치로 시민의 안전이 보장되었음 좋겠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한편 행정자치부들도 시-도 소방본부 및 소방서에 유사사고에 대비한 특별경계근무를 긴급 지시했다.
권경희 기자 kkh@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