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오는 2005년까지 복원될 서울 청계천에 한강물과 지하수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시내와 자동차와 시민이 통행할 수 있는 다리 20여 곳, 산책로 등을 설치하는 ‘청계천 복원 기본계획’을 지난 11일 확정 발표했다.
서울시의 이와 같은 계획으로 청계천 양쪽에는 일부 존치되는 복개구조물 등을 이용한 차로와 보도가 설치되며, 주변에는 가로수나 산책로를 비롯한 8만여평의 녹지공간과 다채로운 조명등이나 수중조명 등의 야간조명시설도 갖춰지게 된다.
이 계획에 따르면 오는 7월부터 2005년까지 복원 시발점인 동아일보 앞에서 종점인 신답철교간 6㎞에 구간별로 기존 복개구조물 일부를 도로 등으로 활용하고 호안벽면이나 수면 폭 등을 다양한 형태로 꾸민 폭 49.1∼76.4m의 하천을 복원한다.
또, 청계천 양쪽에는 차량 통행과 주변 상가의 영업 및 시민 접근 등을 위해 각 2∼3차선의 차로와 폭 1.5∼4m의 보도를 개설하고 상가밀집지역에는 폭 2m의 조업주차공간도 조성된다.
시민들의 친수 및 휴식공간과 도심 녹지축 연결을 위해 하천이나 도로변, 호안벽면 등에 폭 1.5∼3m의 산책로와 징검다리, 녹화·경관시설을 각각 조성하는 등 녹지 8만3천여평을 조성하고, 도시경관 향상을 위해 가로등이나 수목등, 수중 조명같은 야간조명시설도 설치키로 했다.
시는 청계천 복원과 함께 주변에 대한 계획안도 마련, 도심부를 ‘국제금융’ ‘IT.부품’ ‘의류.패션’으로 특화하고, 청계천 주변산업을 귀금속과 한복, 주단 등으로 관광 명소화할 계획이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청계천 복원에 대한 반발이 거세다. 복원을 하게 될 경우 기존 구조물 철거비, 하천복원비 명목 등 상당한 예산(시 추정 사업비 3천649억원)이 소요되며 수십년 간 터를 닦고 사는 주변 상인들이 생업권 침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홍윤기 기자 hongyg@krnews21.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