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지도체제 문제에 이어 대여투쟁 등신(新) 여야관계 설정을 놓고 논란을 벌이고 있다.
여야 대표협약 체결을 통해 `상생의 정치′ 실천에 합의하자마자 검찰이 당사 가압류 추진에 나선데 이어 지난 대선전 한나라당에 이적한 의원들에 대한 소환통보,김혁규(金爀珪) 전경남지사의 총리기용설 등 당의 존립 등에 영향을 미칠 만한 현안들이 잇따라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3선그룹′을 중심으로 강력한 대여투쟁론이 제기되는 가운데 당내 일각에서 `강온양면′의 대여투쟁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어 정쟁지양과 상생정치를 내세운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대여관계를 어떻게 설정해 나갈지 주목된다.
박 대표는 6일 상임운영위원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상생의 정치는 무조건 안싸운다는 것이 아니라 책임정치를 얘기하는 것"이라며 "어디까지나 야당의 역할로서잘못된 것은 따끔하게 비판하고 협력할 것은 협력하는 등 야당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하겠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원내총무 권한대행인 정의화(鄭義和) 수석부총무가 "상생의 정치는 좋지만 상생정치 착근여부는 여당에 달린 것이지 야당에 달린 것이 아니다"며 "야당은 집권여당을 견제하는 것이 중요한데 우리는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적극적인대응을 주문한데 대해 이같이 언급했다.
김영선(金映宣) 의원은 "우리가 내용 없는 것에 대해 정쟁을 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는 좋지만 (정부여당이) 일하지 않는 문제, 국가운영 기본플랜을 실천하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는 단호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가세했다.
중도보수 노선의 `수요회′를 이끌고 있는 박 진(朴 振) 의원은 연합뉴스와 전화에서 "정치권이 서로 멱살잡고 싸우는 것은 안되지만 야당으로서 짚고 넘어가야 할부분은 짚어야 한다"며 "다만 국민들에게 상생의 정치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된다"고 말했다.
앞서 김덕룡(金德龍) 강재섭(姜在涉) 박희태(朴熺太) 이상득(李相得) 의원 등당내 대표적 중진들도 지난 4일 저녁 박 대표와의 만찬에서 검찰의 당사 가압류 방침과 편파수사 문제를 지적하며 적절한 대응을 주문하는 등 현안별로 강온양면의 대응을 적절히 구사하는 대여관계 설정을 촉구했다는 후문이다.
대여투쟁파인 이재오(李在五) 김문수(金文洙) 홍준표(洪準杓) 의원 등 3선그룹은 야당의 존립근거를 강력한 대여투쟁에서 찾아야 한다는 입장을 정리하고 조만간지도부에 이를 촉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