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날 엄마손에 이끌려 아이들은 종종 걸음으로 한 소극장으로 향하고 있었다. 그 예쁜 모습을 우연히 본 기자도 어느새 이끌려 발길을 함께 옮겼다. 작고 허름해 보이기는 했지만 극장안을 채운 아이들의 처음 접하는 연극공연의 기대감과 초롱초롱한 눈빛은 어느새 극장을 따뜻하고 환하게 밝히고 있었다.
아이들이 기대감에 부풀어 기다렸던 작품은 ‘개구리네 한솥밭’. 시인 백석의 작품을 소재로 한 이 작품은 개구리를 비롯한 여러 곤충들이 폭력과 왕따가 난무한 학교생활, 그리고 각종 사교육에 치여 부모의 뜻대로 자라야만 하는 요즘 아이들의 모습을 재밌게 풍자하고 있었다.
공연장에선 만난 한 여자 초등학생은 친구들의 놀림과 따돌림에 아파하는 방아깨비의 모습을 보고 연신 눈물을 훔치고 있었다. 또 다른 한 친구는 공연중에 서슴없이 “우리 아빠랑 똑같애∼!”라는 말을 하여 잠시 극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그리고 “아빠가 왜 저래∼”하는 어느 아이의 말.
이 공연에서는 ‘易地思之’라는 말을 인용, 아이들로 하여금 친구의 입장이 되어 서로를 이해하고 도와주며 평화롭게 살아야 한다는 아주 평범한 진리를 아이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떼뭍지 않은 아이들은 어느새 공연자의 움직임과 말 한마디 한마디에 꼭 그렇게 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이 공연은 분명 어린이들을 위한 공연이었다. 하지만 공연이 막을 내리고 문득 들었던 생각은 현대를 살아가는 학부모를 비롯한 우리의 기성세대들이 봐야만 하는 공연이 아닌가 싶었다. 순수한 어린이들의 마음속에서 서로를 비교하고 또한 서로를 미워하게 만든 것이 아이들의 자의적 행동을 통해 가능한 것이었을까? 그것은 현대를 살아가는 어른들의 모습을 아이들의 눈을 통하여 재현된 상황이라는 생각밖에는 할 수 없는 것이다.
겨울방학을 맞이하여 아이들을 위한 많은 공연들이 즐비하게 늘어져 있지만 그 아이들의 부모들과 기성세대는 단순히 공연을 자녀들에게 보여준다는 의무감에서 벗어나 스스로 무엇을 아이들에게 보여줘야 할지를 반성해야 하는 공연이 아니었는가 하는 생각을 갖게 만들었다. 전성우 기자 jsw@krnews.co.kr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