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대환 총리서리가 26,27일 이틀간의 인사청문회 예정을 앞두고 시민단체와 언론에 총리로서의 자격에 대하여 서서히 평가받고 있다.
장대환 국무총리서리는 미국에서 박사과정을 마치고 귀국해 대학 강사 생활을 하다가 86년 장인이 설립해 운영하던 매일경제신문에 입사했다. 기획실장으로 입사해 이사, 상무, 전무등 초고속 승진을 걸쳐 2년만에 대표이사 사장이 됐다. 이러한 고속승진과 함께 장서리는 ′매경pc저널′ ′생활문화정보지′ 그리고 매경경제TV등 사세를 확장했다. 하지만 참여연대에서는 지난 19일 공개 질의서를 통해 "장총리서리가 모든 사원이 회사의 수익구조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기자 본연의 의무를 소홀하게 만들었다는 지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기자들에게 지나치게 수익을 강요하는 것은 언론의 공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거론되고 있는 것은 행정경험이 전혀 없는 장 총리서리가 각 부처간 업무조정과 협력체제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점이다.
가장 크게 지적되고 있는 것은 참여연대에서 제시하고 있는 "부동산 투기 의혹"이다.
장대환 국무총리서리는 올3월에 우리은행에 대출받은 38억9000만원의 용도에 대한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장총리서리는 "매일 경제 계열사 주식을 매입하기 위해 대출받았다."고 해명하다가 다시"93년 매경TV 설립 때 대주주의 지분을 확보했다가 모양새가 좋지 않다는 지적에 따라 올 3월 은행에서 대출받아 가지급금을 갚았다."고 해명을 번복했다.
이러한 거액의 대출금을 기지급금상환에 사용했다는 감사보고서의 내용이 위법 사항은 없는지 초점이 모이고 있다. 극심한 물난리와 경제의 어려움에 허덕이며 정부에 날카로운 시선을 보이는 서민들은 장대환 총리서리의 청문회를 어떻게 받아드릴지 관심이 쏠린다.
<서민철 기자> mc@krnews21.co.kr
- TAG
-